헤르만 헤세 인생론 - 삶이 너의 꿈을 속일지라도
헤르만 헤세 지음, 송동윤 옮김 / 스타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르만 헤세는 우리에게 있어 매우 친근한 인물이다.

데미안이라는 소설, 유리알 유희의 노벨 수상작 등 어느 한 구절, 한 권의 책을 아마도 한 번쯤을 접해봤을 것이다.

헤세의 인생론, 그의 인생도 평행이론과 같은 수순을 밟지 않았고, 순탄치않은 길을 걸었던 것 같다. 그런 이류로 더 멋진 명작이 나오지는 않았을까,

많은 경험과 배움을 통해 글로 표현한다는 것은 참으로 멋진 일이다.

그는 세상의 아름답고 소중한 것들을 학교생활 이전에 배웠고, 민감하고 활달하고, 섬세한 감각으로 시인이 되었다. 독일의 전쟁을 겪으며 조국의 배신자라는 낙인까지 찍히며 글을 썼고, 외톨이가 되기도 했다. 전쟁이후 스위스의 시골로 은둔자가 되었고, 동양의 인도와 중국의 지혜에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고 종교에 대한 내면적 신념도 돌아보게 된다.

자연을 벗 삼아 그림도 함께 그렸다.

소년시절의 방황과 반항, 부모와의 갈등과 화해 등을 다루는 내용은 아이들의 사춘기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조금은 감각적이고 섬세한 표현은 마음을 동요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가 쓴 데미안의 선과 악, 성, 이상의 대한 내적 갈등을 표현한 것처럼 글이지만 너무나 생생하고 현실적인 부분에 헤르만 헤세를 좋아한 것 같다.

그가 살아온 인생을 보고 내가 가고 있는 인생의 방향을 잡고 싶었다.

좋은 글귀과 문장을 보고 자꾸 되새기다 보면 진짜 내가 되는 것처럼 그에게서 인생의 무엇인가를 배우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총 5개의 챕터로 내 작은 인생론, 젊은 날을 위하여, 자라투스트라의 부활, 도스토옙스키에 대하여, 행복을 위하여라는 내용으로 나눠져 있다.

헤르만 헤세의 일생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나볼 수 있고, 천재적인 작가라고 부르고 싶은 그가 말하는 행복론을 읽어보며 연륜과 철학적인 생각 그리고 언어의 깊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좋아하고 즐겨하는 말로 인해 행복할 수 있다면 어떠할지 생각해 본다.

“그림물감도 그 색의 짙음과 옅음의 혼합은 헤아릴 수 없다 하더라도 임의로 많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나에게 있어 행복이란 말은 그런 것 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내가 사랑해 왔고, 즐겨 들어 온 말 중의 하나다. (중략) 어쨌거나 이 말은 아름다운 것, 좋은 것, 바람직한 것을 의마하고 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