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지혜 - 내 삶의 기준이 되는 8가지 심리학
김경일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 진학 때 명확한 꿈이 있는 건 아니였지만 심리학과에 가고 싶었어요,

단순히 마음을 알고 싶다라는 마음을 갖고 지원을 하고 싶었던 거죠,

막상 심리학과에 진학을 하지 못했지만 평소에도 관심이 많아 심리학 관련 프로그램이나 서적을 접하기 시작했어요,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나와 타인의 생각을 알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찾고 싶은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인지 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자주 접하게 되면서 강연활동에 매력을 느끼게 되었고 집필한 여러 서적도 접하게 되었죠, 이번 신간 마음의 지혜는 내 삶이 기준이 되는 심리학이라는 내용에 읽어보고 싶어졌습니다.

백세 인생으로 보면 반도 살지 못했지만 기나긴 나머지 인생을 보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어져 더 꼼꼼히 읽어볼 생각입니다.

마음의 지혜는 총 8장으로 나눠 인생에서 늘 함께하는 키워드를 접해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성격을 물어보거나 회사를 지원하고 면접을 볼 때에도 MBTI를 체크하고 참고하더라고요,

외향적이 사람도, 내향적인 사람도 그들의 성격에서 장점을 살릴 수 있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이 중 사회적 에너지를 아무리 써도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나쁜 관계라는 것을 알면서도 타인과 접촉을 하며 소비하는 것을 다른 분야로 자원을 써보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관계 속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성격을 내가 할 수 있는 장점을 통해 나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성숙적인 사람이 되어 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행복이라는 정의를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저는 행복이라는 생각을 하면 먼저 한국의 자살율에 대한 생각을 함께 해보았습니다.

행복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행복하지 않은 마음으로 이러한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일까, 나 또한 행복이라는 정의를 알고 언제 느끼게 되는가라는 철학적인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됩니다.

p63.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입니다*

p66. 1년에 100점짜리 커다란 행복 하나를 경험하는 것보다 10점짜리 행복 열 개를 경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니 행복의 격을 조금 낮춰서라도 더 자주 행복을 누리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는 뜻이지요.

이 말에 많은 공감이 됩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와 함께 했던 대화 속에서 가족과 함께 했던 저녁 시간 속에서 친구와 함께하는 커피 한잔 속에서도 혼자 좋아하는 영화를 보며 작은 행복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저 평범하게 살고 싶다는 어떤이의 말이 생각이 나기도 합니다.




사랑과 돈 그리고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나와 내 주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 사례를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특히 죽음이라는 주제, 심오하다면 더 어렵게 느껴지는 내용, 인생에서 한 번은 맞이할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것도 그리고 아름답게 마무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메타인지가 우울에서 나를 구한다니, 메타인지를 죽음이라는 주제서 만날 줄은 생각도 하지 못했습니다.

아이큐나 기억력에서는 별 차이기 없지만 상위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내가 나를 보는 능력이 좋은 것이라고 합니다.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영역, 다른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이 나의 우울증을 알고 극복 할 수 있다고 하니 공감이 가게 되더라고요,



역시 심리학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자의 강의를 한 페이지씩 읽다보니 조금씩 나를 알게 되고, 다른 사람들의 상황이나 지혜를 엿볼 수 있으니 살아가는 데 있어 인생의 근육이 생겨나는 듯 하더라고요,

조금씩 쌓여가는 인생관에서 굵직한 뼈대가 나오지 않겠어요,

지금부터라도 인생을 길게 살려면 한 발짝씩 걸어가며 행복한 일을 많이 만들어야겠어요,

여러분도 인생의 근육을 붙이고 싶다면 마음의 지혜로 입장해보는 것이 어떠시겠습니까,


[포레스트북스를 통해 도서를 제공 받고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