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지도 끝나지 않은 한국인 이야기 1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은 너무나 아름답다. 별의 지도, 깜깜한 밤의 별을 좋아하는 나는 제목에 이끌린다. 하늘과 별의 이야기 이번 주제에 어떠한 내용을 볼 수 있을지 기대하며 첫 장을 펼쳐본다. 

이어령 교수의 책은 언제나 새롭고 신기하다.

샘솟는 지식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한 페이지를 읽으며 찬사를 보내며 읽어본다. 

윤동주 시인의 <서시>로 시작한다. 고교시절, 당시는 시를 외워가며 마음에 새기는 것을 좋아했는데, 서시 또한 나의 마음속에 들어와 있던 시였다. ‘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은 맹자의 어록에 나오는 표현이라고 한다. 하늘 천(天) 개념과 앙불괴어천(仰不傀於 : 하늘을 우러러 부끄럼이 없다) 동양적인 문맥 사상이 담겨있다는 내용을 알게 된다. 

별을 바라보고, 마주하고, 노래하는 마음 안에는 많은 내용이 담겨져 있다. 

전 세계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경계선이 없는 하나의 지구로 보여 진다. 내 눈에서 위로 올라가며 하늘의 은하수를 바라 볼 수 있다는 상상을 하며 나의 마음을 자유롭게 해주고 싶어진다. 

김소월 시인의 <진달래 꽃>, 안도현 시인의 <너에게 묻는다>, 너새니얼 호손 <주홍글씨>, 괴테의 <파우스트> 속에서도 연관 지어지는 하늘과 별과의 지식을 만나보게 된다. 

그리고 윤동주 시인의 <서시>를 국가의 개념 그리고 인간, 종교적 초월적 하늘의 이야기로 다양한 해석 방법도 생각해보게 된다.

장르마다 소개해주는 작품과 동양과 서양의 연관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야기는 신기하게도 계속 이어지고 연결이 되어 재미있고 흥미롭다. 그래서 책을 계속 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옛 사람들은 하늘의 별자리를 보며 길을 찾고 배를 항해했다고 한다. 누군가는 하늘과 별을 보며 국가를 생각하고 다른 사람은 인생의 길을 생각하고 동경하며, 자신을 생각하며 용기를 얻고 힘을 얻는 것 같다. 

단순히 별자리와 하늘의 이야기를 생각했던 나에게 신선한 자극이 되었다고 할까, 

언제나 무한한 지식을 뿜어주는 이어령 교수의 책의 문구를 몇 번이고 되새기고 마음에 간직하고 싶어진다. 


[파람북을 통해 도서를 제공 받고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