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모르는 내 마음의 심리법칙 - 우리는 왜 가끔 미친 짓을 하는 걸까
야오야오 지음, 김진아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모르는 내 마음의 심리법칙

인간은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 중 우울이라는 감정이 있다. 

멜랑콜리는 무기력하고 늘 음울한 표정을 지닌 병의 의학용어로 사용되어 왔으나 서서히 인간의 감정 우울, 비애를 대신하는 용어로 사용되어 인간의 감점 중 하나로 사용된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가 저지르는 실수, 잘못 등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이 나타나기도 하고 더 나아가 심리적 질병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나만 왜 이럴까, 왜 힘들고 괴롭기만 할까, 난 왜 우울할까라는 물음에 근본적인 내용부터 살펴봐야 하는 것이 심리학을 찾는 이유인 것 같다. 

“힘들고 괴로운데 왜 그 이유를 알려고 하지 않는가?”

불안, 우울 초조를 잠재우고 평온한 행복을 되찾아주는 심리학자의 조언

문구를 보며 문득 힘들고 괴롭기만한 상태를 그대로 방치만 했다, 원인은 무엇일까 어디서부터 시작이 되었을까, 내 마음을 들여다 보고 싶은 이유가 이 책을 만나게 된 것 같다. 

일상생활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는 5가지 심리 분야를 소개해주고 있다. 

잠재의식, 우울증, 수면장애, 최면, 죽음

가장 먼저, 잠재의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심리학자 프로이트는 잠재의식을 빙산에 비유했다. 수면위로 보이는 의식이 아닌 가장 아래쪽에 깊은 곳 보이지 않는 부분이 잠재의식으로 표현했다. 

‘잠재의식의 등장’이라고 쓰고 ’실수‘라고 읽는다.

내가 하는 행동에 있어 우연이라는 것은 없다는 것이다. 

소개하는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볼 수가 있으며, 말실수를 하거나 물건을 깨뜨리는 작은 실수도 그만한 이유가 있고, 결정적인 단서와 다양성을 잠재의식의 표현이라고 말한다. 

최근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왜 우울증이 생기는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싶었다. 저자는 우울의 원인을 밝히는 보물상자,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성공의 요인을 내부와 안정성으로 찾지 않고 외부 통제와 불안정성을 찾기 때문에 모든 것을 행운 덕분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능력이 부족함을 탓하며 우울한 마음을 갖는다고 한다. 

또한 슬프거나 우울함을 느낄 때 당시의 기분을 꼼꼼히 기록하며 자신이 의식하지 못했던 감정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의 욕구와 질 좋은 수면의 내용, 

그리고 최면을 통한 잠재의식을 이끌어 내는 내용, 

우울함을 가지고 죽음을 연주하는 사람, 죽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사례를 통해 죽음을 이해하는 내용은 공감이 되는 내용이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이 세상엔 영원한 것은 없다는 말이 마음에 와 닿으며 지금 어느 순간 어느 곳에서 나의 죽음을 맞이할 수도 있는 생각에 더욱 최선을 다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많은 사례를 통해 쉽게 설명이 되어있어 읽기에 편한 내용이다. 

책을 따라가다 보니 생각지도 못한 마음의 길을 찾아볼 수가 있다. 

나 자신의 마음의 상처가 있는지, 마음의 상처를 보듬어 주는 일을 할 수 있는지 어렵지 않게 내용을 찾아 볼 수 있다. 

나 자신의 내면을 확인해 보며 나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는 책이다. 


[미디어숲을 통해 도서를 제공 받고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