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 나로 살아가기 위한 든든한 인생 주춧돌, 논어 한마디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오천년 역사 상 춘추전국시대는 위대한 현자가 많이 나왔던 시대였다. 

공자 역시 춘추전국시대의 현자였고, 그의 사상은 유교사상의 바탕이 되었다. 

몇 천년이 지난 지금에도 공자의 말씀 논어가 계속해서 해석되고 소개되는 이유는 분명히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유지되며 찾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논어를 소개하는 내용이 있다면 읽어보고 싶어진다. 

논어는 공자의 말씀으로 내가 겪고 있는 고통과 근심을 함께 나눌 수 있고, 인간의 진실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이다. 

저자 판덩은 직장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독서를 시작했다. 이때 공자의 이야기를 만나며, 공자 역시 근심과 고통을 겪은 것을 알게 되며 이 모든 것이 혼자만이 고통을 얻은 것이 아닌 모든 사람이 겪은 고통임을 알게 되며 불안함에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한다. 

논어의 말씀 한 구절 한 구절 옳은 말씀이며, 인간의 근원을 생각해보며 배움을 느껴본다. 

이 책에는 제 7편 술이 편 ; 어짊으로 무장한 공자의 자태, 8편 태백 편; 천하를 거스린 공자의 인품, 9편 자한 편; 혼돈의 시대를 헤쳐가는 공자의 지혜로 구분되어있다. 

학여불급, 유공실지(學如不及, 猶恐失之)

인생은 끝이 있지만 배움에는 끝이 없다.

공자는 자신이 “배움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으면 잃을까 두려워”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여전히 노력해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렇다. 학창시절만 끝나면 배움이 끝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나의 직업을 가지면서 보다 나은 생활을 위해 지속된 배움은 필요하다. 적당한 긴장감과 초초함을 통해 자기계발의 속도를 낼 수 있다.

공자는 괴이한 것, 힘쓰는 것, 어지러운 것, 귀신에 관한 것은 입에 담지 않았다고 한다. 

언행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 말은 생각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생각은 행동에 행동은 습관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최근 가짜뉴스를 통해 사회적 혼란을 느끼기도 하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정의와 진실을 통해 가짜뉴스 판단이 필요한 부분은 보는 사람 역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합리적인 사고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공자가 입에 담지 않는 내용을 보며,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도 언행에 대한 조심성을 생각해봐야 하는 부분이다. 

공자의 말씀과 함께 행복한 사색을 통해 생각의 정리도 할 수 있고, 딱딱한 문구만을 소개하는 것이 아닌 풀이와 현상, 용어, 이론 등을 함께 접목하여 이해하기 쉽게 소개가 되어있다. 

인생의 삶을 돌아보고 안정적인 내면을 유지하기 위한 한 마디 말, 논어의 한마디,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를 읽으면서 내면의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숲을 통해 도서를 제공 받고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