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라고도 넘치는 고요 - 그림의 길을 따라가는 마음의 길
장요세파 지음, 김호석 그림 / 파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의 길을 따라가는 마음의 길, 

모자라고도 넘치는 고요,

장요세파 수녀의 글과 김호석 화백의 수묵화를 만나볼 수 있는 책

단지 수묵화를 보기 위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책을 모두 읽은 후 나는 ‘이 책 너무나 좋은데.’ 라며 혼잣말을 되뇌었다. 

장요세파 수녀는 김호석 화백의 작품 묵상집을 벌써 세 번째 출간을 했다고 한다. 

한 사람의 그림이 장요세파 수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까, 

김호석 화백이 그린 그림을 한 장 한 장 들여다보며, 잔잔하게 전해주는 메시지를 함께 생각하다보면 계속해서 여행을 떠나듯 진행형이다.

한 폭의 그림에 글이 함께 더해진 책에는 마음이 따뜻해지기도 때로는 깊은 한숨과 생각이 들기도 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섬세하고 담백한 그림은 한 번 보고 다시 자세히 보게 되고, 글을 읽고 또 보게 되는 그림이다. 

첫 장의 검은 얼굴의 어머니가 거울에 자신을 비추는 모습이 나온다, 화백의 모친이라고 소개한 그림은 거울을 보며 눈썹을 그리고 계신다. 눈이 거의 안보이게 된 어머니는 하루 대부분을 눈을 감고 지내니 늘 어두울 것이다. 보이지 않은 눈을 대신하여 검은색 얼굴을 보니 그 동안 고생하셨던 모습도 떠올리게 되고, 거울을 보며 눈썹을 만지시는 것을 보니 몸 매무새를 함부로 흩트리지 않는 존재의 무게를 이야기 해준다고 소개한다. 

가느다란 바늘과 바늘귀에 연결되어 있는 실의 그림을 보았다. 

작은 가시는 잘 빠지지 않고 많이 아프진 않지만 신경에 거슬린다. 그래서 피를 보며 바늘을 사용하여 작은 가시를 제거한다. 저자가 가시를 내적 가시문제로 옮겨서 성찰을 하고 있다. 내적 가시라함은 성장사를 통해 나의 약점 불리하게 하는 요소로 간주하게 된다. 이러한 불리한 내적 가시를 뚜렷하게 자각하고 극복하기 위해 오픈하고 바늘로 찔러 피를 보는 상황으로 은유되고 있다. 

김호석 화백의 그림은 색이 단순한 수묵화이다. 투박해 보이지만 너무나 섬세하고 의미를 생각해보게 된다. 장요세파 수녀의 메시지 또한 의미가 모두 특별하다. 마음의 여유가 필요할 때 이 한 권의 책을 다 볼 때 즈음에는 마음이 조금은 정화되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파람북을 통해 도서를 제공 받고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