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자존감을 키우는 부모 수업 - 아들러 심리학으로 배우는 바람직한 자녀교육의 모든 것
호시 이치로 지음, 김현희 옮김 / 이너북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이이 자존감을 키우는 부모수업

저자 호시 이치로는 아들러 심리학을 육아강좌에 도입하였고, 자녀교육에 전문가로 인정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작가의 말 내용 중 실패를 나쁜 것이 아니라 소중한 체험으로 본다. 아이들에게는 실패가 성공으로 이어지는 가장 소중한 기회이기도 하다. 자녀를 둔 나에게는 이 말이 머릿속에 울려 퍼졌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여러 가지 실패를 접하게 된다. 실패를 실패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소중한 기회가 되어 밑거름이 될 수 있는 경험이 되었으면 하는 게 나의 바람이다.

여기서 심리학의 기반을 둔 알프레드 아들러는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이며, 개인심리학을 수립하였고, 프로이드의 제자였으나 뜻을 달리하여 결별하였다. 사람들의 행동과 발달을 결정하는건 열등감, 무력감을 극복하려는 권력의 의지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며,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고안해 내기도 했다.

저명한 심리학자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자녀교육의 새로운 공식이라니, 작가의 말 중 좋은 글귀를 생각하면서 한 페이지씩 넘기기 시작하였다.

 

우리이이 자존감을 키우는 부모수업은 총 6챕터로 나누어져 있고, 생활 속 이야기들이 나열이 되어있다. 이야기는 실생활 속에서 아이와 함께 나눌 수 있는 대화법이며 몇 가지 소개를 해본다.

2, 아이의 회복력을 키워주는 올바른 대화 습관 

안돼 !” 라고 금지하는 것은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아이들이 놀다가 실수로 남의집 창문을 깨뜨리게 되었다. 보통의 부모들은 아이에게 공놀이는 위험한데, 하지마,”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도 안돼” “저것도 안돼금지사항이 많이 늘어나게 된다.

여기서 아이에게 무조건을 금지 시 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아이들도 유리가 깨져서 놀란 상태일 것이고 자신이 잘못했음을 느낄 것이다. 아이가 단순히 유리를 깨지 않고 잘 놀기 위해 공을 가지고 놀지 않겠다는 말을 들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아이의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유리를 깨뜨리지 않고 공놀이를 하려면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 “유리를 깨뜨리지 않고 공놀이를 하려면 이런 방법도 있는데, ” 조금씩 힌트를 주며 아이가 직접 결정 할 수 있는 의견을 인정해주는 것이다.

맞다. 아이들이 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의견을 내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자전거를 위험하게 타는 일, 학교 담벼락을 넘는 일 등을 보면서 하면 안돼라는 말을 했지만, 위험한 행동을 인지시키고 안전한 방법으로 놀 수 있는 일을 결정하는 대화를 시도해 봐야 겠다.  

3장 성취감과 자신감을 불러일으키는 말의 마법

칭찬이 아닌 인정이 아이를 자라게 한다.

담임선생님께 주의를 받은 아이에게 부모가 어떠한 말을 들었는지 물어보고 답을 들었다.

이 때 부모가 아이 앞에서 선생님을 헐뜯는 행동은 아이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람에 따라 사고방식과 대화방식은 다를 수 있다. 상대가 잘못했다고 탓하지 말고 선생님은 그렇게 생각하신 모양이구나, 하지만 엄마는 다르게 생각해,” 라고 인정해주고, 아이에게 선생님이 어떤식으로 말했으면 좋겠니?” 라고 생각을 물어보고, 선생님께 어떻게 전달할지를 생각해 본다사람은 모두 다르다. 내 아이에게 상처가 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상대를 탓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부분에서 이런 이야기를 들었는지 깊게 이야기 해보고, 도움을 주어야하겠다  

아이들에게 칭찬을 많이만 주려고 했었는데, 칭찬만 받고 자란 아니는 칭찬을 받기위해 노력하고, 칭찬이 받지 못하면 실망도 클 것이다. 하지만 인정을 받고 자라면 스스로에게 자존감을 높이고 다른 사람 평가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한다 

소개되는 내용이 모두 나의 이야기 같다. 또 주변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는 이야기이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내가 했던 잘못된 내용이 너무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아이들은 계속해서 성장을 해나가고 있고, 실패와 성공을 느낄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내용처럼 아이들에게 모두 대화로 풀어나가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이들을 세상에 내보내려면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 자존감은 나의 내면에 성숙된 사고와 타인의 평가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 마음인 것 같다.

스스로 생각해서 결정하는 힘, 쉽게 포기하지 않고 다시 일으킬 수 있는 내면의 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힘,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모의 힘도 함께 키워나가야겠다.

이너북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