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빌리의 노래 - 위기의 가정과 문화에 대한 회고
J. D. 밴스 지음, 김보람 옮김 / 흐름출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힐빌리의 노래"

 

 

 

소설이라 생각했다.하지만 나에 생각은 깡그리 잘못된 생각이었다.

힐빌리의 노래..누구나 딱 보기에 책은 소설이란 느낌이 드는 책이란

생각이든다..힐빌리란 미국의 쇠락하고 낙후된 공간..공업 지대인

러스트벨트 지역에 사는 소외된 지역속  가난하고 소외된 백인 최하위층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다.,그곳에서 살아온 한 젊은이의 회고록인

이책은 비록 세상을 많이 살았고 죽음을 맞이하거나. 그런때를 느낌을

나타내기위해 쓰여진 책이 아닌....젊은 청년인 32살 저자 J.D.벤스는

자신이 살아온 힐빌리 그곳에서 살아온 자신에 이야기를 책속에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실화라고 하기엔 너무도 영화같은 그에 이야기속으로

들어가보자..그는 무엇을 말하고자 한것일가 궁금한 그속으로 들어가보자..

 

 

 

 

이책의 저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회고록으로 남긴 이책으로

일약 스타덤에 앉았다고 한다.그저 사업가였던 그에 이야기는

무엇으로 감동이 되어 수많은 사람들에 입소문으로 인해 일약스타덤에

앉을수 있었던 것이었을까..이책이 본인에게 주었던 영향력이 가히

놀라웠다고 스스로 말하는 그에 이야기는 백인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사회속에서 외면당하고 무시당하는 사람들에 무리였던 힐빌리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던 사람들에 이야기이자 자신에 이야기이다..

실화이기에 더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았던 것일까.궁금증은 커져만가고

책속으로 파고들면 파고들수록 그에 대한 답을 찾는데 어렵지 않은

부분들과 마주하게 되었다.그는 불우한 환경속에서 살아온 사람이다..

그는 거친 입담과 정말 내노느라고 말할수 있는 성격을 지닌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한 할머니와 주정뱅이에 담배를 무지막지하게 피워대는 골초에 폭력까지

일삼는 할아버지..약물 중독에 빠져버린 엄마는 이상하고 기이한 행동을

일삼으며 살아가고 있으며 그런 엄마들곁을 스쳐지나가는 수많은 아버지란

존재들 늘 자신에 편에 써서 지켜주었던 누나,등등 힐빌리란 곳 그곳에서

공감속에서 살아가고 있다.그는 엄마와 세아버지와 살아갈수 없기에

조부모님들 사이에서 살아가며 힘든 순간들과 마주하게 된다..

 

어린시절 자신이 세상을 살아오면서 느꼈던 물질적인 문제들이

다가 아닌 더 고통스럽고 힘들었던 순간들과 마주하게되면서

어린나이에 안정적이고 어딘가에 자신이 사랑받고 살아가길 바랬던

그 모든것들이 이루어지지 않아 힘들기만 했던 순간들을 이겨내고

주인공 밴스는 예일 로스쿨을 졸업하고 사회속에서 안정적이고

희망적인 현실과 마주하게 되면서 살아왔던 자신 어린시절 그곳을

탈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에 대한 이야기들을 이책에 남기는 것은

그곳에 자신이 있었음으므써 어쩌면 더 살아가는 끈은 단단히 조여맨것은

아닐까하는 생각들이 들었던 순간들과 함께 했다..

 

 

 

그저 책이라면 소설을 읽고 에세이를 읽으며 생각과 재미를 추구했던

나에게 이책은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는 책이었다..

아주 젊은 나이에 사람들에 자신에 인생을 이야기하고 알리는 그에

어떤 이야기를 알리고자 하는 책일까하는 궁금함으로 읽기 시작한 책은

미국이란 강국에 화려한 모습만을 들여다볼줄 알았던 나란 사람에게

그들에 단면에 비추어진 사람들에 모습을 들여다봄과 동시에

어쩌면 사람이 살아간다는것이 어느곳에서든 방식은 다르나 나름에

의미는 있다는 생각과 마주하게 되며 자신에 모든것을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순간과 마주하면서도 자신에게 그 어린시절이 지금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겪고 있는 것들이 인생에 다는 아니며 문화적

혼란과 사회문제를 자신의 삶을 통한 그 느낌그대로 전하고 싶었던

마음이 합해져 한권에 책이 많은 이들에게 감동과 생각에 순간과 마주하게

만들었던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울러 지금 혼란에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메시지를

전달해주는것은 아닐까..꼭 한번 읽어보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