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프라우
질 알렉산더 에스바움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우스 프라우"

 

 



"나는 세상에서 가장 수동적인 여자다."

 

표지는 강렬하다.많은것을 담은듯한 표지는 절로 눈이 간다.하우스 프라우

그 뜻은 가정주부.결혼한 여자,기혼여성을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근데..저기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하는 듯한 그림들은 도무지 가정주부,

기혼여성에게는 어울리는 그림들이 아닌것처럼 보인다.많은것을 내포하고

있는 표지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이 책속에 들어차 있는 이야기들이 어떤

이야기일까 이해가 가면서도 미스터리한점들도 눈에 들어오기도 하는

묘한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책을 받고 한참을 들여다보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 바로 이책이다.

궁금하다 궁금해 너무도 궁금한 이야기속으로 들어가보자..

 

 

여기 모든것을 다 가진듯한 행복해 보일수 밖에 없는 한여자가 있다.

그녀는 미국인이며 스위스인 남자와 결혼하여 스위스에서 살아가고 있다.

잘생기고 멋진 은행원 남편과 아들둘...딸아이와 함께 정원이 큰 주택에

살아가는 남들이 본다면 그녀는 행복 그자체로 보인다..

하지만 그녀는 우울과 외로움속에 살아가고 있다.집 언덕위 벤치에서

수많은 눈물을 흘리고 괴로워하며 수없이 이겨내려 노력했지만 그녀는

이제는 눈물도 말라 흐르지 않는 심각한 수준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녀는 결국 밖으로 나가 다른 남자를 만나고 불륜을 저지르며 살아가는

파국으로 치닫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그녀는 물론 자신이 살아가는 인생이

잘못이라는것을 알고 있다.하지만 그런 행동들을 멈출수가 없다.

안나는 변하고 싶었다.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에 굴레속에서..

정신가 의사에 상담을 받기도 하며 삶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싶지만

지나치게 수동적인 자신에 행동들을 이해할수 없다.

의사는 안나에게 독일어를 배우길 추천하고 그곳에서 만난 남자와

쾌락을 즐긴다..이야기는 정신과 주치의 메설리 박사와 안나의 상담과

분석들..안나의 과거와 현재를 이야기하며 교차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는

이어진다.어떻게든 자신이 처한 상황속에서 이겨내려 노력하지만

삶을 안나가 더이상 손쓸수 없는 파국을 향해 달려간다..

 

안나 벤츠에 삶은 참 지독하고 지루하며 불만으로 가득찬 읽어내려가는

나조차도 수동적인 안나에 삶이 답답하기만 하다.왜 그리 다 누리고

살아가는 가정주부이면서도 불구하고 사랑하는 남편과 아이들에게

최선을 다하지 못하고 사랑을 갈구하는 하이애나처럼 불륜을 저지르고

밖으로만 나돌아지는 삶을 살아가는 것인다...

지독하게 우울하고 슬픈 일상들이 견디기 어려운 자신을 변화할 방법은

없었을까..사람이 살아가는데 수동적인 삶을 살아간다는건 어떤

의미일까 ..변화하고 자신을 발전시키며 살아가는 그런 삶이 물론

잘살아가는 표본이겠지만 대부분에 여성들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안나처럼 수동적인 여자로 변화되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을 하고 자신에 일에 성취감을 느끼며 살아가는것 그것이 허락한다면

안나처럼 수동적이고 파국으로 치닫는 삶을 살아가지 않았을까

 

 

 

안나 벤츠는 물론 비난받고 잘못되었다고 정의할수 있는 여자이다.

하지만 그녀에 내면속에 잠재되어진 우울과 슬픔은 그녀만에 오롯한

잘못은 아닐것이다.대담한 성묘사와 안나에 심리적인 묘사가 잘 어울러져

책은 읽고 난 뒤에도 오래토록 무언가 뒷통수를 맞은거처럼 멍한 기분이

든것 또한 사실이다.안나라는 한 여성에 삶과 내면속에 펼쳐지는 마음에

변화는 책을 덮는 순간까지도 오래토록 여운이 남아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