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모션 증후군을 가진 남자"
세월이 변해감에 따라 신기하고 어리둥절한 단어들이
생소하게 느껴질때가 있는거 같다.
민모션 증후군...이뜻을 생각하면 난 그저 소설에 등장하는
또다른 허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중후군이 실제로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출수 없었다.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는 심리현상을
민모션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슬플때 우는 대신 입술을 깨물거나 손으로 입을 막는다면
우리도 민모션 증후군일 확률이 높다고 한다.
듣고도 참 신기한 증후군이다.
나는 늘 감성이 너무도 풍부해서 걱정인데.
이런 증후군일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되니 아이러니하다.
그리고 이소설에 또 특이한 점은 이책에 저자는
16세때 이미 한권에 소설을 쓴 18세에라고 하는데.
고등학생인 작가가 자신에 책표지며 글이며 모든것을
다 했다고 하는것이 신기하기만 하다.
어떻게 보면 그 나이에 그 시각으로 본 우리에 모습이라든지
내면이 잘 나타나는것은 그 시각으로 보았기 때문이란
생각도 들었다.
어린나이이기에 투명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지금의 사회현상들을
그에 눈으로 바라보고 쓸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어른이기에 바라보는 시점이 틀리고 어린어린이이기에 바라보는 눈이 달라진다는건
사실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우리는 다들 민모션 증후군에 걸려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시각..
마음을 속고 속이는것에 익숙해져버렸고
외로운 사람들끼리 서로의 마음을 속고 속이며
몰래 애달파 하면서도 끝내 모른척 살아가고 있다고
그렇게 상처 입고 망가질때로 망가져버린 영혼의 구원에
다다르기까지의 과정을 이 소설속에서 저자에 시선으로 바라보고
이야기는 이어지며 충격적 반전과 끝까지 각기 다른 인물들에
몰입하고 들여다보게 되고 면밀한 내면 묘사로
책속에는 심리적인 요소들이 가득하다.
부모의 이혼과 아끼던 고양이의 죽음으로 민모션 증후군을
앓고 있는 서윤
그는 무의미하게 미술대학에 진학하고 그런 생활을 하면서
대학을 졸업하지만 처음으로 용기내어 자신에 모든것을 다 걸어 열었던
전시회에서 주위사람들로부터
그의 그림에는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는다라는 혹평을 받게 된다.
주위사람들이 하는 그런 말들에 자기자신이 화가 나야되고
분노해야하거나 실망해야하지만 그는
자신이 왜 이런 그림을 그렸는지조차 확신이 없고 의미가 없다.그런
서윤앞에 전시회의 마지막날 유안이 나타나면서
서윤에게는 새로운 의미에 생활이 이어지게 된다.
신비롭고 묘한 분위기에 유안은 서윤의 그림을 이해해주고 제목까지
붙여주면서 작품에 생명을 불어 넣어준다.
자신에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힘겨운 생활을 한 서윤에게 유안은
그녀가 없이는 살아갈 자신조차 없게 서윤에 인생에 모든것이 되어버린다.
그런 서윤에게 유안은 갑자기 이별을 고하는데...
과연 이야기는 어떻게 흘러가는 것일까
.
.
.
.
이혼과 자살...환생이라는 독특한 소재로
이어지는 이 책은 어쩌면 현대인으로 살아가면서
누구나 느꼈을 아픔일지도 모른다.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살아야만 했던 한 남자로
인해 들여다본 가슴시리고 슬픈 이야기와 반전으로 이루어진
이책은 독특한 구성과 내용으로 나에게 다가온 책이었다.
작가에 대단함에 놀래고 그 시선으로 이런 소설이 나온다는거에
또한번 놀란 책이란 생각이 든다.
"당신은 마음을 내보일수 있는 사람인가요?"란
작가의 말이 가슴에 새겨지는 말인거 같아.
마지막으로 이글을 한번 남기며 이글을 마무리하고 싶다.
나도 내 감정을 숨기고 사는것은 아닌지..
많은것을 생각하게 하는 소설로 남을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