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박노자는 이 책에서 계속해서 ‘우리는’이라는 주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철저하게 ‘타자’적 시각에서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구하고 해석하고 있다.

역사를 최대한 사실에 근거해서 객관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은 만국 공통으로 필요한 자세일 것이나, 왜 저자는 ’한국’에 대한 애정을 내세우면서 유독 한국의 자기중심적 역사 해석에 대해 이처럼 모질게 비판하고 있는 것일까?

탈민족적, 탈국가적 역사 인식과 해석이라..
명분은 좋지만 과연 그걸 구현하고 있는 나라가 있는지 저자에게 반문하고 싶다.

저자가 한국역사의 몰객관성과 자기중심적 해석을 비판하며 던진 여러 질문들을 보면서 박노자는 철저하게 타자의 시각을 가진 이방인일 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해 별로 애정이 없는 사람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식의 비판이라면, 거의 모든 나라의 역사책이 대부분 자기만족을 위해 각색되고 과장된 기록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책 전반에 산재해 있는 독자를 쓴 웃음 짓게 만드는 질문들을 한번 보자.

“과연 고구려도 오늘날의 미국과 같은 ‘문화제국주의’를 펼칠 수 있었던가?”
“원효를 신라의 사상가로만 봐야 하나?”
“신라는 발해를 동족으로 생각했나?”

저자는 기존의 한국사가 고대사와 근대사, 그리고 오늘날의 국가 개념 상호간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왜 자신의 주장을 펼 때는 그 개념의 차이를 외면하고 있는 것인가?

책을 읽다보면, 저자의 역사 해석 또한 ‘러시아 사람으로서의 인식의 한계’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함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가 ‘왜곡과 과장‘이라는 안전정치를 달고 ’일본서기’의 기록을 마음껏 인용해 자신의 생각과 추측을 늘어 놓는 걸 보면, 오히려 그는 심정적으로 일본인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 같다.

한국의 민족주의적 사관에 대한 날선 비판이 이 땅에서 어쩔 수 없는 ‘이방인’으로 활동하면서 저자가 받고 느낀 차별에서 기인한 ‘화풀이’처럼 느껴지는 건 나만의 오해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