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유혹하는 글쓰기, 글쓰기가 나를 유혹한다는 것인지, 다른 사람을 유혹하는 글쓰기를 한다는 것인지 잠시 헷갈렸다. 아마 두 가지 뜻이 다 들어 있는 것이리라. 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는 자기를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심하다. 특히 나를 두고 보면, 전자의 의미가 더 가깝게 다가온다. 자신의 마음과 상상력, 혹은 자신의 통찰력을 표현하고 뽐내고, 또 비슷한 사람과 공유하고 싶은 욕구는 말하기 혹은 글쓰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예술작품을 통한 분출도 있겠지만 그건 좀더 고차원적이고 더 상징적인듯하여) 그 중 글쓰기라는 건 즉흥적인 성격을 띤 말하기보다는 좀더 진득한 면이 있어 덜 부담스럽다. 말솜씨는 형편없지만 훌륭한 글쓰기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작가들이 많지 않은가!

하지만 글쓰기 역시 만만치 않다. 글을 쓰려면 진득하니 앉아 있어야만 하는데, 어디 그러기가 쉬운가? 쓸 말이 참 많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쓰려고 하면 어떻게 써야 할 지 모를 때도 많다. 쓰다보면 한없이 두서없어지고 황당무계해지기도 부지기수이다.

소설가 스티븐 킹은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펼치면서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그의 인생 자체가 글쓰기 인생이라고 볼 수 있으니 뭐 당연한 이야기다. 덕분에 딱딱한 글쓰기 지침서가 되는 것은 면했다. 오히려 아주 재미있다. (스티븐 킹과 어투가 좀 닮아가는군)
그는 이력서, 연장통, 창작론, 인생론 등을 들어가며 많은 이야기를 했지만 결국,

‘이력서’는 그가 어렸을 때부터 공포만화 등을 좋아해서 그것들을 모방하면서 재미있게 자랐다는 이야기다. 어린시절을 살면서 겪은 여러가지 에피소드 등은 후에 그의 소설 한 귀퉁이를 장식했음은 물론이다.


‘연장통’은 많은 독서를 통해 소설 창작에 알맞은 여러가지 어휘습득과 글쓰기 훈련을 통해 소설을 쓸 때면 그가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는 커다란 연장통의 연장들을 많이 갖추어 놓았다는 것이다.


‘창작론’은 스토리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자신의 창작 방법에 대한 예를 들어놓았다. 자신은 미리 정교한 플롯을 짜 놓고 소설을 쓰지 않고, 어떤 스토리의 앞부분이 생각나면 거기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스토리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자연스럽게 살아움직이며 그들 스스로 이야기를 하게 한다는 것인데, 이게 참 쉬운듯하면서도 어려운 것 같다.


그밖에 글쓰기하는 도중에는 남들의 의견을 구하려하지 말고 끝까지 써야 한다는 것, 이것이 바로 스티븐 킹이 말하는 ‘문을 닫고 쓰기’다. 그래야만 창작의 맥을 놓치지 않고 (혹은 혹평에 절망하지 않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이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야기를 다 쓴 후에 비로소 문을 열고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수정 작업을 거쳐야 한다는 것, 곧 ‘문을 열고 쓰기’는 소설가가 자신의 이야기에 푹 빠져서 다른 결점을 찾을 수 없을 때, 대중에게 내 놓기 전, 지인들에게 객관적인 의견을 구해 좀더 다듬어지고 짜임새있는 이야기로 완성하기 위함이다.

‘인생론’은 그가 겪었던 교통 사고를 통해, 그에게 있어서 글쓰기란 인생의 재미일 뿐만 아니라, 그의 인생을 지탱해 주고 되살아나게 해 주는 원동력임을 새로이 깨달았다는 내용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스티븐 킹의 소설들을 생각해 보았다. (기껏해야 영화로 본 것들이지만) 그의 작품들 속에는 그가 이 세상에서 본 것들(세상의 부조리, 선과 악 등), 그런 세상에 대한 희망이 녹아 있다. 작품 속 인물 하나하나에 그런 몸짓들이 나타나 있다.

글쓰기는 인생이다. 글쓰기에 동반되는 여러가지 능력(경험, 표현력, 상상력, 재미)들을 갖추지 않으면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가기가 힘들다. 꼭 소설가가 될 게 아니라도 말이다. 살아가면서 쓰는 여러 가지 글들, 일기장들 속에서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자신의 ‘진실’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티븐 킹의 말대로) 글쓰기를 통해 자기 안의 여러 이야기들과 진실을 ‘발굴’해 보자. 그러다보면 황금이 나올지도, 어느 굉장한 비밀을 발견하게 될지 모르잖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