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금은 모험? - 성공적인 풀뿌리모금을 위한 길잡이 ㅣ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총서 2
조안 플래너건 외 지음 / 아르케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미국내 조사에 따르면 약 90%가 개인적인 요청을 받았을 때 기부금을 낸다고 응답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미국은 기부문화라는 것이 있고 사회복지기관이 이를 통해 필요로 하는 상당량의 기금을 얼마든지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정이 다르다. 왜 우리나라는 기부에 무관심할까?
가장 큰 이유는 가족중심문화에 근간을 둔 가족내의 이전이 매우 많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즉 부모자식간, 형제간, 친척간 원조가 많기 때문에 외부에 기부할 여유가 없거나, 돈에 여유가 있다하더라도 가족을 위해서 원조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부하지 않고 비축해둔다. 그리고 기관 재정의 투명성이 부족하다. 최근 꽃동네 오웅진 신부의 횡령 논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사건이 사실이 아닐지라도 우리나라의 기관 재정에 대한 불신을 볼 수 있는 좋은 예이다. 마지막으로, 기관에서 자원개발에 대한 knowhow가 부족하다. 우리나라에 잠재적 기부가능자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관의 실무자들이 이를 끌어낼 knowhow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자원개발의 knowhow를 아주 구체적인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물론 기부문화가 성숙되어 있는 미국에 바탕을 둔 책이기 때문에 문화적 맥락이 상이할 수 있지만 기부요청시 피해야 할 말 등과 같이 매우 구체적인 수준까지 언급하고 있어 실제의 실천 현장에서 매우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