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혁신을 이끄는 인구 혁명 - 인구에 대한 가장 정확한 예측과 대안이 담긴 미래보고서
제임스 량 지음, 최성옥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산업혁명에 따른 또 다른 혁명은 인구폭발이었다. 늘어난 경제력은 인구의 증가를 가져왔고 인구 혁명에 따른 변화를 멜서스는 인구론을 통해 주장했고 경고했었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기에 빈곤과 기아에 시달릴것이다라던 멜서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인구론의 그 주장은 틀렸고 인류는 새로운 현실을 눈앞에 두고 있다. 바로 인구의 감소다. 비극적이게도 인구감소에 따른 국가의 존립에 가장 먼저 위협을 받는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다.
책에서도 이러한 현상과 사실들에 대해 자세히 서술해 놓았다. 고령화의 선두주자였던 일본과 이젠 그를 능가하고 앞지르고 있는 대한민국의 인구문제를 경고 하고 있다. 인구가 재산이었던 과거 아이를 많이 낳던 시절엔 꿈도 꿀수 없던 문제인 저출산은 세계적으로도 문제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고형화와 맞물려 더더욱이나 심각한 문제로 다가왔다. 노인이 많아지는 나라는 국가경쟁력에서 뒤쳐질수 밖에 없다. 젊은 세대의 짐이 되고 노인복지에 따른 정책은 젊은 세대에겐 부담이 되고 취업도 어려워지는 사회에서는 더더욱 출산을 안하게 되는 악순환으로 거듭된다.
저자는 국가별 솔류션들까지 서술해 놓았다. 첫번째가 바로 우리나라에 대한것이다. 역시나 고령화와 저출산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외에도 일본,중국,미국,유럽,인도까지 국가별로 인구에 따른 여러 사회적 현상과 문제의 해결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저출산은 선진국이 겪는 문제이긴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만큼 살기가 어렵다는 사회적 반증이기에 암울하게 다가오는 현실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출산후 육아와 장기적으론 교육의 문제를 잡아야 한다. 대학입시와 그에 따른 교육비는 가게 지출의 반을 넘고 있다. 유치원문제부터 입시까지 저출산의 걸림돌은 여러가지지만 교육문제만 잡아도 가정경제와 삶의 질은 높아질것이란 생각이다. 그에 따라 애 키우기 힘들어 낳지 않는 의식들도 바뀌지 않을까싶다.
흥미롭고 읽을거리 풍부한 책이다. 우리나라문제까지 언급한 책이라 또 다른 관심으로 다가오는 책이다. 인구문제는 우리의 현실이라 진지하게 볼수밖에 없는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