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 세이초 월드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김경남 옮김 / 모비딕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마쓰모토 세이초의 단편집 중 초기 걸작을 모은 <잠복>을 읽었습니다. 읽는 내내 역시 마쓰모토 세이초는 대단한 작가라는 생각을 다시 할 수 있었습니다.

<얼굴>: 살인을 저지른 범인이 사건을 은폐하기 위하여 증인을 다시 살해하려고 하면서 생기는 일을 범인과 증인의 시점을 교차해 가며 다루고 있습니다. 작품이 의외로 평화롭게 흘러간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막판에 역시 반전이 있더군요.

<잠복>: 마쓰모토의 첫 단편이지요, 미스터리 자체보다는 형사의 눈으로 본 사건 관계자들의 애환이 더욱 눈에 띄었습니다.

<귀축>: 어느 인쇄공이 자신의 인쇄소를 차린 뒤 사업이 잘 되었다가 우연히 만난 여자와 바람을 피우기 시작하면서 생기는 몰락 이야기를 간결히 다루고 있습니다. 역시 바람이란 피워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일깨워 준다고 할까요, 하하하.

<투영>: 한 신문기자가 시골로 이사한 뒤 지방 신문에 취직했다가 살인 사건을 취재하고 결국 범인을 밝혀내기까지의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사회파 추리소설의 대부라 하지만 이 작품은 본격 추리물로서도 전혀 손색이 없습니다.

<목소리>: 우연히 살인범의 목소리를 듣게 된 전화 교환수와 그녀가 살해되면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범인은 처음에 나타나지만 이 작품은 ‘누가’보다는 ‘어떻게’에 중점을 두어 범인의 알리바이 확보 수단을 밝혀내는 데 있습니다.

<지방 신문을 구독하는 여자>: 지방 신문을 구독하다가 갑자기 중단한 여인과 어느 살인 사건의 연관성을 밝혀내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막판 반전이 그리 새롭지는 않았지만 범인의 마지막 자존심은 약간 동정이 가더군요.

<일 년 반만 기다려>: 가정 폭력의 피해자가 된 한 여인의 이야기를 르포처럼 자세히 쓴 작품입니다. 더욱이 마지막 반전은 이 단편집 수록 작품 중에서도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르네아데스의 널>: 한 남자의 몰락 이야기가 생생히 묘사된 작품입니다.

 

1955년작 <잠복>을 비롯하여 1957년 이전에 발표된 초기작인 만큼 사회파보다는 본격 추리물로서의 성격을 띈 작품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단편인데도 한 작품에서 사건 관계자 모두의 사연과 인간성을 군더더기 없이 표현해 낸 마쓰모토 세이초의 솜씨에는 정말 감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마쓰모토 세이초의 작품이 이번에 많이 소개되어 정말 기쁩니다. 앞으로도 좋은 반응이 있으면 좋겠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