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을 스치는 바람 1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정명은 <뿌리 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으로 많은 독자를 확보한 작가입니다.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 중 하나인 윤동주의 시를 소재로 하고 있지요. 윤동주는 1944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후쿠오카 형무소에 잡혀 들어갔다가 이듬해 2월에 사망했지만 죽기 전 그의 모습을 보고 그가 생체 실험의 희생양이 되었다는 설이 지금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윤동주의 마지막을 모티브로 삼아 쓰인 작품입니다.

 

 배경은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즉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의 후쿠오카 감옥에서 시작합니다. 이 감옥은 일본에서 가장 위험한 사상범, 조선에서 데려온 독립군 군사 혹은 사상범들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징집되어 교도소 경비병으로 배치된 한 병사의 눈으로 서술됩니다. 어느 날, 죄수들을 사정없이 폭행하기로 악명이 높았던 간수 스기야마가 입이 꿰매진 채 목이 매달려 살해되는 엽기적인 사건이 발생합니다. 소장에 의해 사건 조사를 명령받은 주인공은 한 명의 죄수를 범인으로 지목하게 되지만 조사하면 할수록 죽은 간수의 의외의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간수가 의외로 피아노 조율도 할 줄 알고, 시나 문장에 대하여도 많은 조예를 가지고 있다는 점 등, 그리고 그 간수와 가장 친분이 깊었던 죄수 히라누마 도준, 본명 윤동주와 만나게 됩니다.

 

 살인사건은 단 한 건이지만 전혀 지루하지 않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 정부는 자국은 물론 식민지에도 온갖 사상적 억압을 가합니다. 이 교도소는 특히 심하여 조선어로 된 책이나 문장은 무조건 소각해야 하는 검열관 스기야마, 글을 쓸 줄 모르는 죄수들의 엽서를 대필해 주는 윤동주가 검열 때문에 몇 번 만나며 스기야마가 점점 문장, 시 등을 접하게 되고 인간의 사상과 문장이 담긴 시에 점점 감화되어 결국 윤동주와 둘도 없는 친구가 되는 과정이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작품의 구성도 절묘합니다. 사건의 진행에 따라 그 상황에 맞는 윤동주의 시가 하나씩 소개되고 윤동주 외에도 괴테, 릴케 등 여러 나라의 걸작 문학 작품을 접할 수 있으며 억압받는 세상에서 윤동주와 인간의 자유에 대한 열망, 예술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윤동주의 메시지는 인상 깊었습니다. 책들은 태워진다고 해도 그 문장을 읽은 사람의 마음속에서는 죽지 않는다는 이야기, 그렇습니다. 우리가 책 한 권을 통하여 얻는 지식이나 정보는 결국 우리의 마음 속에 존재하게 마련이니까요.

 감옥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그리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이 정도면 <쇼생크 탈출>에도 뒤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 정도더군요. 강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