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오천년 이야기 생활사 1 우리나라 오천년 이야기 생활사 2
원영주 지음, 정진희 그림, 이종철 책임감수 / 계림닷컴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천년 이야기 생활사라는 제목에서 역사책의 무거움과는 다르게 옛날 이야기 같은 느낌이든다. 의식주는 먼 옛날 선사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내려오면서 발전하고 계승되면서 크고 작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학창시절에 역사과목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아서 아이에게 쉽고 재미있게 접해줄 관련 서적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내년부터 역사교과에 들어가는 3학년인 큰아이에게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부분이 생활사라고 본다.
먹고 자고 집에 사는 거야 선사시대 사람들이나 현재 지금의 사람이나 하고 있다.
다만 그 모습이 다를 뿐이다.
하지만 그 모습의 변화가 큰만큼 선조들의 지혜 또한 감탄사를 나오게 만든다.

큰아이가 학교에서 용인 한국 민속촌으로 소풍을 간다기에 미리 주거생활을 정리 해보기로 했다. 그림 그리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의외로 정밀하게 열심히 그리면서 재미있어 했다.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에는 자연 그대로를 이용한 동굴, 신석기 시대에는 움푹패여졌다고 지어진 움집, 철기 시대에는 지상가옥인 귀틀집 다락창고등이 있다.
역사시대에 들어와서 자연을 닮은 서민들의 초가집과 구워낸 기와로 만든 양반들의 기와집이 발달 되어 갔다.


우리나라 오천년 주생활이야기라는 제목의 스텝북을 만들어 보았다.





움집을 제일 신기해했다. 움집안에서 화덕이 있어도 불이 나지 않았다는게 신기한 모양이다. 아이와 암사동 선사유적지를 가보기로 했다.
우리나라 3가지 아름다운 선 중에 하나인 처마선의 아름다운 기와집은 따로 활동을 할 것이 많지만 천천히 쉽게 가야지 싶어서 이정도로 정리 해보았다.
과학적인 구들 문화도 빼놓을 수 없다. 책에 그림과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다.

아이가 정성을 들여서 만든 미니북 완성!!
어제 민속촌을 다녀와서는 초가집과 기와집을 친구들 한테 설명해주었단다.
행랑채며 솟을대문, 사랑채 안채의 구분,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등...
서낭신을 모신 서낭당은 처음 보고 와서는 신기해했다. 아는만큼 보인다고 학교활동과 연계가 되어서 좋은 활동이 되었다.
오천년 생활사이야기는 엄마가 먼저 보고 아이와 옛이야기 하듯이 풀어가기에 정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