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네기 - 나눔을 실천한 따뜻한 강철왕 아이세움 역사 인물 10
다나 미첸 라우 지음, 김민석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대부분 위인전은 위인의 업적과 천부적인 재능을 나열하는 것에 치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부분은 그 위인이 어떤 사회적 배경 속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업적을 이루어나갔는지가 더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하고 그점을 아이에게도 알려주어야 위인을 제대로 알았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초등학생 중학년이상이 읽을만한 내용이 알차면서 읽기 쉬운 위인전을 알게 되었다. 아이세움 역사 인물시리즈이다.

그 중 나눔을 실천한 따뜻한 강철왕 카네기를 읽어보게 되었다.

카네기하면 떠오르는 수식어는 강철왕, 카네기홀, 카네기 재단, 카네기 처세술정도였는데

그의 삶을 들여다보니 이 수식어들이 괜한 것이 아니었음을 실감한다.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직조 기술자의 아들로 태어나 미국으로 이사를 한다.

보빈 소년에서 전보 배달원, 철도원으로 일을 하면서 성실하게 살아가면서 지식에 대한 호기심을 항상 갖고 있었다.

정말 카네기가 위인으로 보는 점은 그의 시대를 내다보는 안목과 과감한 결단력이라 본다.

당시 남북전쟁후 철도국을 그만두었을 때만 해도 강철은 값이 비싸고 쓰임새도 많지 않아서 관심을 기울인 사람이 많지 않았었다고 한다. 하지만 카네기는 대륙횡단 철도와 공장 건설등 엄청난 규모의 철강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뛰어 들은 비범함이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의 사업 성공에는 어두운 면이 있었다.

이윤을 위해서 때로 비도덕적인 행위도 한하고 덤핑을 해서 경쟁사를 무너뜨리기도 하고, 담합을 통해 부당이익을 챙기기도 했다. 노동자들의 저임금과 부당한 노동조건으로 홈스테이드 사건과 같은 폭력 사태가 생겼다. 이는 카네기 자신의 오점으로 남는다.

 

하지만 자신이 이룬 부를 사회 환원에 앞장섰다. 미국과 전세계에 2811개의 도서관을 세우고 교육시설을 세웠으며 평화 운동기금을 기부하고 다양한 기금 활동을 해서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과학지식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카네기 재단을 설립하는등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나누어 줄 수 있도록 환원에 앞장 섰다. 그의 비범함이 인생 후반에 더 빛을 발한 것이다.

 

있는 사람이 더 무섭다고 한다.

하지만 카네기는 나눔를 실천하고, 미래를 보는 비범한 안목을 실천으로 옮긴 이 시대에 필요한 위인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