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의지론 - 아우구스티누스의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박일민 옮김 / 야웨의말씀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1부와 2부로 나누어진 책이다. 1부는" 자유의지에 관하여" 저술하였고 그와 관련하여 2부는 "자유의지와 은혜에 관하여 "저술하였다.
1부에서는 저술의 목적이 담겨 있는데 내용을 잠깐 살펴보자면 (옮긴이의 해설)
마니교를 반박하기 위해, 그러나 단순히 부정적인 논박에서만 머물지 않는다. 이 글은 악이 어디에서부터 왔는가 하는 문제를 영지주의자들의 경우처럼 절대적인 이원론을 방편으로 하여 해결하려 했는데 마니 교도들의 궁금증을 상대로 합리적인 답변을 시도한다. 따라서 사실상 주제는 악의 본질과 그 기원을 밝히려는데 있다. 그러나 이성적 피조물의 자유 의지 안에서 있는 것이므로 "자유 의지에 관하여"라는 제목이 붙여지게 되었다. - (p. 11 )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적 무기를 폭넓게 사용하여 마니교를 논박하면서 펠라기우스주의에도 측면 공격을 가하고 있다. -( p.12 )
이 글을 쓰는 당시에는 펠라기우스주의가 아직 나타나기 전이라고 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마니교의 오류를 피할 수 있게 해주고 또 자유 의지를 온전히 하나님의 선물로 여길 수 있도록 해주는 데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도우심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적고 있다.-(p.13 )
아우구스티누스는 모든 선한 것들 즉, 큰 선, 중간 선, 작은 선, 모든 선들은 하나님께로부터 나왔음을 말하면서 자유 의지를 중간 선에 속한다고 서술한다. 사람은 이것을 선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악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유의지 자체는 선하다. 고 말한다. 왜냐하면 자유 의지가 없으면 정의롭게 살 수 없기 때문이다.
"덕" 이 덕은 아무도 악한데 사용하지 않기에 우월한 선에 속하며 모든 선은 하나님께로부터 나왔다고 정의하고 있다. 사람은 자기 자신의 생각에 따라 즉 자유 의지에 따라 죄를 범할 수 있으나, 그것을 자기 스스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 한 것이다.
위의 내용은 아우구스티누스의" 회고록"에 서술한 내용이다. 또 구약성경의 원죄를 기록한 말씀을 인정하지 않는 마니교도들을 반박한다.
그러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우리들은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이 멀리하는 신구약 성경에 기록된 모든 내용들을 다 지켜야 한다. 신구약의 말씀들은 모두가 성경 말씀이기 때문이다.]- (p.16 )
1권은 에보디우스라는 인물과 토론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악의 기원, 하나님이 왜 악이 조성자가 아님을 토론한다. 이런한 내용으로 자유 의지에 대한 내용들이 들어 있다. 신학 서적을 읽을 때마다 나의 한계를 안다. 왜냐 하며 한국어임에도 불구하고 읽는 것이 얼마만큼 어렵다는 것을 느낀다. 이 책 1부는 플라톤적인 철학적 사조와 헬라 문화적인(Helleism) 영향이었는지 난해하다.
2부에서는 발레티누스와 아드루메툼 수도사들에게 보내는 글로서 [은혜를 강조하기 위해 자유의지를 부정하거나, 자유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은혜를 부정하는 것에대한 경고를 하며 사람들에게 의지의 자유로운 선택이 있음과 동시에, 하나님의 은혜가 없으면 어떠한 선도 행할 수 없음을 증명한다. 또 펠라기우스 주의자들에 맞서 은혜는 우리의 공로에 의해서 주어지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은혜란 율법이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며, 단순히 죄의 용서만을 의미하는 것도 아님을 설명한다. 그리고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이 쓸데없이 내세우는 "은혜가 비록 선행에 대한 대가로 주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믿거나 기도하는 사람에게서 예상되는 선의지에 대한 대가로 주어진다".고 하는 주장을 무너뜨린다. 그리고 이어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친히 주시는 것을 왜 명령하고 계시는지에 대한 문제와 함께, 하나님께서 과연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것을 명령하셨는지에 대한 문제를 의도적으로 취급한다.(중간 생략) 은혜가 우리의 공로에 대가가 아니라 값없이 거저 주어진 것임에 대한 분명한 증거를 제시한다.]- P215.216 기독교 변증과 도 같으며 강설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라도 읽어 본다면 그리스도의 향기가 느껴진다.
그만큼 성경을 보는 관점과 그의 지식 수준이 보통이 아님을 보여주는 증거가 아닌가? 성경 연구를 얼마만큼 하였는지 그의 노고에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