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글라스 킨더랜드 픽처북스
민지은 지음 / 킨더랜드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을 밝혀주는 안경이 있다고?

무식하게 당근만 먹지 않아도 된다고?!

그 안경, 나도 갖고싶다!!


선글라스가 아니라 달글라스라니요? 제목부터 센스가 넘치는 그림책이에요.


검은 선글라스 같은 안경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 사이로 보이는 의뭉스러워 보이는 동물들의 그림자가 재미있어서, 표지따라 그림도 그려 봤어요.


평화로운 숲속에

깜깜한 밤이 찾아오면

번쩍이는 눈빛이

숲속 동물들을 오들오들 떨게 했습니다.


야행성 동물의 눈에는 반사판 역할을 하는 타페텀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 눈이 빛나는 것이라고 해요. 이렇게 밤사냥을 하는 포식자들이 깊은 숲 속에서 눈을 뜨는 밤, 다른 숲 속 동물들은 두려울 수 밖에요. 깜깜한 어둠 속에서는 바로 앞도 잘 보이지도 않으니까요.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했죠.

어둠 속을 밝히기 위해 청설모는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여 마침내 '달글라스'를 개발해요.


당연히 절찬리에 판매가 되었죠. 더 이상 어둠은 문제가 아니었고, 두렵지 않았어요.


하지만 어떤 물건이든,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중요하죠. 인류 역사에서 위대한 과학적 발견은 결국 전쟁이라는 폭력적인 수단으로 변질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노벨의 다이너마이트, 아인슈타인의 E=mc 처럼요.


토끼들은 달글라스를 쓰고 호랑이 소리를 내며 장난을 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장난은 점점 더 심해졌고, 결국 숲 전체를 혼란에 빠트렸지요.


하지만, 그 누구도 그 소리의 실체를 파악하기보단 당장의 두려움에 급급해 자신의 안위만을 위해 눈을 밝히기 시작했어요.


점점 더 밝게, 더 밝게, 더 밝게...!!!



숲 속 동물 친구들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아주 흥미진진한 이야기이지만, 근대 과학의 발전과 그 과학의 폐해를 동시에 지켜보고 있는 21세기의 사람으로서 마냥 웃기만 할 수는 없는 이야기였어요. 아인슈타인의 발견은 순수한 과학적 의미를 가졌었지만 결국 핵폭탄이라는 결과로 이어졌고, 플라스틱의 발명은 환경오염으로 이어졌으니까요. 이 외에도 과학의 발전이 인류과 지구에 끼친 부작용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었어요.


유아들과는 재밌게, 초등 이상 아이들과는 깊은 생각을 하며 읽을 수 있는 그림책으로 추천합니다 !

* 출판사에서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