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13
제인 오스틴 지음, 오화섭 옮김 / 범우사 / 199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사랑하는 것은 너무 나고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책을 하면서 올렌카라는 한 여인에 대해 많은 면을 볼수 있었다. 사랑하는 모습이 다른사람과 특이하다던가, 그리고 사랑하는것이 인생의 가장 큰 일이라는 것 등의 모습들 말이다. 줄거리는 대략 이렇다. 야외 극장 지배인 쿠우킨은 늘 비가 온다고 자신을 파신이라는 호칭과 함께 소리를 쳐댄다. 그런 쿠우킨을 바라보는 올렌카에게는 사랑. 그 감정이 생겨난다. 그후 쿠우킨은 올렌카에게 청혼을 하고, 그들은 결혼을 하게된다. 결혼 후 그들은 행복한 삶을 꾸렸고, 올렌카는 남편일을 거들어 주기고 하며, 계산서를 꾸미고 월급을 치러주기도 했다.

그녀는 자신이 마치 극장을 운영하는 것 같이 연극이야말로 생활에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연극에 대한 일에는 남편보다 더욱 열심히 일했다. 그후 남편은 모스크바에 극단을 부르러 가던 중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그녀는 큰 슬픔을 이겨내지 못할 정도에 까지 다다랐다. 그러나, 인연이라는 말이 있듯이, 푸스토발로프와 결혼하여 그와 행복한 나날을 보냈으며 그녀는 그의 남편의 일이 원래 자신이 해왔던 일처럼 그렇게 해왔다. 그녀의 남편이 복재를 구입하러 모길레프현에 다녀오는 동안 그녀는 적적해 했다. 그래서 그녀의 집을 건너 방을 빌려 쓰고있는 젊은 군수의 관인 스미르인이 저녁이면 이따금 놀러왔고 그려와는 좋은 친구가 되어주었다. 그 후 그녀의 남편이 병으로 죽게 되었고 그녀는 다시 우울한 삶을 살게되었다.

그녀의 의견 또한 없어져버렸고 어떻게 생활하는지 조차고 알 수 없는 지경이었다. 그녀는 수의관 에게 도움을 받으며 마치 자신이 수의관처럼 행동하게 되었고 그가 떠났다가 다시 돌아왔을 때 수의관의 아이인 샤사를 키우며 그녀는 그렇게 다시 사랑을 주면서 그렇게 그녀는 삶을 살았다. 그녀는 사랑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여인이었다. 자신의 의사조차도 제대로 내세우지 못하고 사랑을 하게되고 사랑 받게 되었을 때가 되어서 비로소 그녀가 살아 있음을 알 수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그녀가 사랑 받음으로써 그녀는 자신이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사랑이라는 힘이 한 사람이 삶을 살아가는데 그렇게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한 사람의 인생이 이토록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는 생각을 할 수 없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사랑이라는 단어가 너무나도 소중하고 고귀한 것이라는 것을 세삼 다시 깨달은 거 같다. 이 책속에는 너무도 배울 수 있는 것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이렇게 한 인생이 망가질 수도 살아가는 활력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하는 것이니까 말이다. 이 책에 써있듯이 올렌카는 정말로 귀여운 여인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우리에게 공기가 있어야 하고, 물이 있어야 하듯 이 여인에게는 사랑이 있어야 한다니.. 조금은 엉뚱하게 느껴진다. 그녀의 인생이 어떻게 보면은 불행한 삶을 산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그 보다더 그녀가 사랑하면서 살아온 그녀의 삶은 불행이라는 단어보다는 행복이라는 단어가 더욱 잘 어울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사랑이 항상 함께하는 그녀이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