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 왕 - 존재에 관한 스무 가지 이야기 베틀북 철학 동화 18
하인츠 야니쉬 지음, 볼프 예를브루흐 그림, 박수진 옮김 / 베틀북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 성찰] 명령을 하고 화를 내기도 하지만, 주변 사물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왕의 이야기가 담긴 책이다. 짤막한 글 속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줍니다.

책 속에서)

- 책 -
“잘 지냈느냐?” 왕이 물었어요.
“그건 제가 늘 하던 말이잖아요.”
책이 대답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세상의 기호들 - 주제로 배우는 어린이 교양 지식은 내 친구 12
유다정 지음, 이현진 그림 / 논장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호, 문화, 공존]기호가 뭘까? 우리 주위에 있는 기호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 책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소통의 수단인 기호에 대한 책이다.
기호를 통해 나라가 달라도, 언어가 달라도 간단한 그림 하나만으로도 뜻을 이해하기도 하고, 심지어 시간을 뛰어넘어 선사시대 사람의 생각을 읽어내기도 한다.

 ‘세상 모든 것은 기호’라 할 정도로 우리 주위에는 기호가 많다.

매일 보게 되는 신호등, 화장실에 그려 있는 픽토그램, 그리고 수많은 부호와 문자들이 그 예이다.

기호와 연결해서 세계 문화와 역사, 사회 이야기를 재미있는 삽화와 함께 들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이면 보이는 빅 - 복잡한 세상을 풀어내는 간단한 법칙 상상의집 지식마당 18
고여주 지음, 박하 그림 / 상상의집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데이터, 정보, 사회]교통, 통신, 미디어 등 세상은 점점 복잡해져 간다.

이 책은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을 재미있게 들려준다.

수많은 데이터를 분석해 가치 있는 정보를 찾는 빅데이터,

프랜차이즈 시스템처럼 물건을 대량으로 생산해 비용을 줄이는 규모의 경제,

각각의 요소가 모여 새로운 성질을 이룬다는 떠오름 현상,

우연 속에 법칙이 있다는 큰 수의 법칙 등이 일상생활 속 이야기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다.

혼자서는 보기 어려운 세상의 이야기를 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들어 있는 알찬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땅에서 찾고 바다에서 건진 우리 역사 - 고고학 생생 노트
김영숙 지음, 송진욱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학, 유적, 유물, 우리역사]고고학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책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유적과 유물에 얽힌 생생한 고고학 이야기들이 가득 담겨 있다.
전곡리 주먹도끼, 암사동 선사 주거지, 동삼동 패총, 갈동 세형동검 거푸집, 풍납동 토성, 백제 금동대향로, 무녕왕릉, 아차산 보루, 황남대총, 복천동 고분군, 시안 보물선, 이응태 무덤 한글 편지, 회곽묘 미라등 유물 속 우리 역사 속으로 여행을 떠나게 해준다. 

특히, 원이 엄마의 구구절절한 한글 편지와 머리카락을 섞어 만든 미투리의 사연이 인상 깊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림 하우스 문지아이들 143
유은실 지음, 서영아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 공존, 소통, 사회문제]텔레비전을 보는 게 유일한 즐거움인 증조할머니,

나이 들어 병든 몸을 이끌고 가족을 위해 일하는 할머니,

피부병을 앓고 있는 철없는 동생 ‘너의 보루’와 사는 자존심 강한 곰 ‘너의 보람’ 이야기이다. 

 
‘품위 있게 사는 것’이 소원인 보람이의 삶은 팍팍하기만 하다.

가난 때문에 낡은 집에서 유전자 변형된 옥수숫가루와 번데기 통조림만 먹고 살아간다. 

보다 못한 옆집 아줌마의 권유로 집을 개조해 주는 <드림 하우스>에 출연하게 된다.

방송에 출연하게 되면서 보람이네 가난이 구경거리가 되고, 보람이는 마음에 상처를 입는다. 

가난하면 품위 있게 살기 힘든 걸까? 과연 내가 보람이었다면?

우리 사회의 가난을 바라보는 눈이 어떠한가를 생각해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