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의 경우 한동안 일부 여우의 발에 흰색 반점이 나타났다가 더이상 눈에 띄지 않았는데, 그러다가 후대에 갑자기 다시 나타났고 지금은 일부 여우의 얼굴에 다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일부 유전학자들은 비활성 유전자들은 어떻게든 ‘켜질‘ 수 있으며, 여우의 흰색 반점이 나타나는 위치가 바뀌는 것처럼 유전자들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다양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었다. 드미트리는 가축화과정에서 드러나는 많은 변화들 뒤에는 이런 식으로 유전자 활성화의 변화들이 있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에게 이 사실은 다윈의 이론에대한 일반적인 해석이 시사하는 것보다 훨씬 단기간에 가축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말해주었다. 유전자 - P36
아주 오랜 세월 종 안에서 확고하게 정해져 온 짝짓기 주기의 경미한 변경조차 이 관계에 관한 그의 주장이 옳다는 강력한 표지 같았고, 아주 약간 더 순한 여우의 번식뿐 아니라 본격적인 가축화 과정이 이미 진행되고 있음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것 같았다. - P67
로렌츠는 애착은 본능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고이 과정을 각인이라고 불렀다. 동물의 초기 발달이 이루어지는 이처럼 중요한 시기 동안에는 유전적으로 정해진 행동들이 노출된 환경에의해 극적으로 바뀔 수 있었다. - P96
아무래도 이상했다. 여우들은 언제나 그들을 맞이했다. 두 사람은 걱정스런 마음으로 문을 열었다. 그들을 향해 반갑다고 달려들었을 여우들이 한 마리도 보이지 않았다. 안으로 들어갔다. 집안이 텅 비어있었다. 다음 순간, 바닥이며 벽이며 온 방안에 낭자한 핏자국이 눈에들어왔다. 그들은 갱들이 모피를 얻기 위해 한밤중에 집에 침입해 여우들을 살해했다는 사실을 알고 몸서리쳤다. - P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