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의 소재로 '괴물'만큼 극의 긴장감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치는 없을 거란 생각을 합니다


상상 속에서 창조된 다양한 괴물들이 지금도 책에서 영화에서 볼 수 있지만


이미 구전으로 기록으로 남아있는 동서양의 괴물들은 판타지 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캐릭터로 나오고 있죠



세계 괴물 백과는 우리에게 친숙한? 괴물과 다소 낯선 괴물 아예 낯선 괴물 등 110가지의 괴물들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흥미로운 것은 동서양에 등장하는 괴물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랍니다




교통수단이 발달되지 않았던 그 옛날 여행자의 입에서 입으로 퍼져갔을 괴물(공포)들


무역과 교류를 통해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되고


동양에서도 서양에서도 비슷한 상상이 더해지고 빼지면서 비슷한 형태의 괴물들이 각 나라마다 존재하게 되었다는 거죠



서양의 입장에서는 동양은 신비했을 것이고


동양의 입장에서 서양 역시 기묘했을 것이기에


서로의 이야기는 더 큰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며 갖가지 괴물의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었을 거 같아요






예전 인도 신화 수업을 들었을 때


세상 온갖 종류의 형태의 신과 괴물들을 들으며 참 편견이 없다? 다양성이 존중이 되는 나라라는 생각을 했거든요


우리나라의 괴물들을 보면 보통은 사람의 형태, 도깨비 형태 정도로 한정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인도 신화 수업에서도 느꼈지만 이 책에서도 괴물의 형태는 참 복잡하고 동물적인 모습이 혼재되어 있다고 느낍니다


짧게는 한두 단락으로 소개가 되는 괴물도 있고 여러 페이지에 걸쳐 설명이 되는 괴물도 있는, 세계 괴물 백과






아무래도 그리스 로마 신화와 서양 고대/중세를 배경으로 하는 판타지 소설을 읽어봐서 그런지


그리스 신화, 종교 전설, 유럽의 전설과 괴이한 일 파트의 괴물들은 들어보았던 괴물들이 많더라고요



하지만 고대 근등 신화와 동방 여러 민족 전설에 등장하는 괴물들은 생소했습니다


이름은 생소했지만 특징들은 확실히 겹치는~ 비슷하게 떠오르는 괴물들이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죠




고대 근동 신화에 나오는 훔바바, 파주주, 라마슈트와 같은 괴물들은 신들의 계획 하에 탄생이 되었다는 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살던 인간들은 사망에 비해 출산은 많아 점점 인구가 늘어나게 되고


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은 엔릴은 대홍수로 인간을 멸망시키는데요


지혜의 신 에아의 도움으로 배를 만들어 생존한 인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분노하게 되죠


하지만 에아의 설득으로 인간의 수명을 줄이고 질병을 일으키는 악마들을 창조함으로써


죄를 지은 인간은 벌하고 정직한 사람들마저도 시험에 들게 하는 역할을 했다고 믿는답니다


단편적인 이 이야기만 보더라도 '노아의 방주'가 떠오르는 대목이죠






동서양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돌고 돌아 외양은 다를지언정 뿌리는 비슷하게 연결되어 있는

괴물의 이야기가 저 뿐만 아니라 괴물덕후 아들에게도 재미를 선사하는 책이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