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의 기술에서는 말한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 드리는 것이 사랑의 시작이다. 나조차 사랑하지 못 하는 사람은 남을 사랑 할 수 없다. 어머니의 모성애는 조건이 없다. 네가 너이기 때문에 사랑한다. 나약하고 떼쓰고 울지만 너는 그저 너이기 때문에. 어머니는 아이에게 이해를 바라지도 않는다. 하지만 우리의 사랑은 그렇지 못하다. 타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롬은 다른 기술처럼 노력과 실천을 강조한다. 우리는 먼저 나를 이해하고 역지사지의 자세로 상대를 바라보아야 한다. 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위해 해온 노력까지 포함해서.


 프롬은 프로이트를 강하게 비판한다. 그는 성적 도착과 해소에만 집착하여 사랑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 했다고. 사랑을 프로이트의 입장에서 정리해 보자. 사랑이란 자신의 초자아를 다른 사람으로 대체하는 현상이다. 그의 사상은 이렇게 쉽게 양심을 외부의 권위로 대체해 버리는 행위를 정당화한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자본주의를 정당화하는 변명이 된다. 그러나 프롬이 말하는 사랑은 자기 자신의 마음을 온전히 지니고 다른 사람의 마음을 받아드리는 것이다. 비인간적인 사회를 극복하는 것은 결국 '사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