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머리 여가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3
외젠 이오네스코 지음, 오세곤 옮김 / 민음사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머리 여가수


 이 작품은 삶의 부조리 보다 언어의 부조리에 집중한다. 말이 얼마나 쓸모가 없는지 보여준다. 바비 와트슨과 바비와 바비. 메리와 메리의 메리. 말장난처럼 보이는 대사로 작가가 말이 얼마나 완전하지 않은 지 말한다. 말을 다루는 작가인데 말이다. 사람은 대화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려 한다. 그러나 대화는 부서지고 단절되며 무시된다. 언어가 얼마나 허무하고 가치가 없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이런 완전하지 못한 수단으로 소통하는 인간도 부조리하다. 작품은 ‘영국적인 삶’의 모습을 강조한다. 신사적이고 올바를 것만 같은 그 삶은 거짓되고 허무하다.


수업


 이 작가분, 수미쌍관을 많이 좋아하신다. 공부깨나 하신 분이다. 그런데 이런 분이 이렇게 말을 부정하는 작품을 쓰다니! 이렇게 언어학이 위험합니다. 여러분. 자칫하면 사람이 죽습니다. 작가가 이 작품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뭘 까? 지식인의 타락이나 위선? 그 정도에 멈춘 것은 아닌 것 같다. 일부러 언어학 수업을 하다가 살인까지 이어지는 구성을 선택했으니. 언어가 얼마나 위험한지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런데 나는 읽노라니 “머리가... 아파요...”


의자


 대상이 없는 대화는 갈 곳이 없다. 귀부인, 의사가 아닌 사진사, 대령님, 수많은 군중과 황제. 아무것도 없다. 기다리는 변사는 나타나지 않는다. 극 중에서 노인과 노파는 죽음을 맞는다. 또 삶이 얼마나 완전하지 못한지도 보여준다. 죽음은 세상에 태어나 깨닫는 가장 큰 부조리다. 언젠가, 당신은, 이유도, 시기도, 모르지만, 확실하게, 죽는다. 피할 수 없다. 살라고 보내 놓고 반드시 죽으란다. 얼마나 억울한가? 삶도 죽음도 내가 선택하지 못했으니. 노인과 노파가 죽음을 맡기 전에 변사가 왔다. 고도와는 다르다. 그러나 그는 말을 하지 못한다. 변사인데 말을 하지 못하다니 오지 않는 고도 보다 못핟. 작가는 또 한 번 관객을 조롱한다. “봐라. 언어가 얼마나 완전하지 못한지.” 그러나 그는 불완전한 말로 극을 보고 있지않는 나에게 수많은 감정을 만들어 낸다. 단지 두 인물이 대화를 나누고 의자를 나를 뿐이다. 그러나 나는 글을 읽으며 엄청나게 긴장한다. 그들의 죽음이 안타깝고 변사의 마지막 말에 절망한다. 모순 되게 언어의 부조리를 말하는 그의 작품에서 위대한 언어를 발견한다.

 

 언어도 부조리하고 삶도 부조리하다. 맘에 들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것이 아니므로. 그러나 때로 삶을 인정하고, 때로 삶에 순응한다. 그러다 보면 그 부조리마저 경이로울 때가 있다. 이 책을 읽었을 때 처럼. 그런 작은 순간이 세상을 긍정하는 이유다. 이제 덜 억울하다. 그러나 여전히 의문이다. 나는 언어로 완전히 소통할 수 있을까? 작품 속의 인물처럼 아무것도 제대로 담지 못하는 게 아닐까? 그러나 말이라도 없다면 나는 무엇으로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