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희곡을 읽었다. 처음에 이 작품을 읽으며 ‘(사이)’와 ‘고고’가 무엇인지 한참 고민했다. 희곡이니까, 지문으로 ‘(사이)’처럼 간격을 표시해야 한다. 그리고 ‘고고’는 이름이었다. 나는 소극장에서 연극을 몇 편 본 게 다다. 그래서인지 부조리극은 참말 어렵다. 인물의 맥락 없는 대화를 더듬어 가면서 정리해 본다. 블라디미르는 계속 묻는다. 에스트라공은 싫다는데. 에스트라공은 말한다. 두 인물의 대화를 소통이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 그 전에 대화라고 할 수 있을까? 묘하게 웃기기까지 하다. 블라디미르는 대답하지 않는데. 방향 없는 대화, 통하지 않는 말, 무의미한 행동, 반복되는 하루, 끝이 없는 기다림. 작가는 “이것이 인생이다!”라고 말하는 걸까?


 나는 어떤 고도를 기다리며 하루하루 살까? 사는 건 뭘 까? 포조의 마지막 외침을 빌어 작가의 생각을 조금 들여다본다. 그는 태어나고 살고 죽고, 던져졌고 선택하지 못했고 되는대로 살았다. 기다리는 내일은 오지 않고 침묵으로 가득 찬 텅 빈 삶. 고도는 무엇일까? 희망? 자유? 무엇인지 몰라도 어제도 오늘도 오지 않지만 믿고 기다려야 한다. 내일은 올지도 모르니까. 그렇게 하루하루 버티는 게 삶이니까.


 극에 마지막에 가면 배우와 관객의 구분도, 무대와 삶의 구분도 없어진다. 삶이 연극과 이어지고 연극이 삶과 이어진다. 부조리한 연극처럼 삶도 부조리하다. 그리고 극은 계속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