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 인공 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인간다움에 대하여
김재인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딱 덮는 순간, 가장 먼저 든 생각은
"감사합니다."였습니다.

인공지능 시대,
챗지피티,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우리 노후에 대한 불안과 걱정에 멈춰있지 않고,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친절하고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는 김재인 작가님의 멋진 강연을 들은 것 같아 너무나 감사하고 기쁘네요.

인공지능은 몸이 없습니다. 몸이 없으니 친구를 사귈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인공지능은 아주 고립된 세계에 갇혀 있어 성장할 수가 없습니다. 인공지능이 입력된 데이터로 풍성한 정보를 가진 것이 사실이지만, 결국 수많은 데이터의 합을 도출해 내는 것도 우리 인간의 질문과 통제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지요.

사실  멋진 그림을 짧은 시간에 그려내는 인공지능의 '창작'에 사실 너무나 무섭고 놀랐습니다. 이 책을 보기 전까지 (솔직히 말하자면 더 알고 싶지 않다는 거부감으로) 인공지능으로 창작된 글이나 그림 등을 찾아보지 않았던 제게, 본문 속에 소개된 여러 작품은 진심으로 충격적이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가야 할까?
이렇게 창작의 영역까지 인공지능으로 대체된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걸까? 

하지만 중요한 사실을 오늘 책 속에서 깨달았습니다. 인공 지능은 창작의 주체가 아닌 창작의 도구라는 사실을요. 평가를 담당하는 인간의 기준에 맞는 수많은 작업을 조금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는 도구라는 것을요. '가치 평가', 우리 인간들의 고유한 해석의 영역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김재인 작가님은 본문에서 인공 지능 시대를 잘 살아가려면
1. 글쓰기
2. 지식 암기
3. 수학
이 세 가지 공부는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생각하는 힘이 너무나 필요한 시대이기에, 사고하고 깊이 고민해 표현하는 글쓰기 능력.
★ 창의성이란 기존의 축적된 지식에 추가로 무언가를 보태야 하므로, 기존의 것을 잘 알고 이해할 수 있는 정보 수집 능력.
★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기 위해 프롬프트(질문을 입력)를 잘 사용할 줄 아는 질문하는 능력.
★ 이 모든 것을 이루어가는 언어를 이해하기 위한!! 확장된 문해력, 확장된 인문학을 위해 꼭 필요한 디지털 문해력 (수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식, 추상, 규칙 등)

막연한 불안감이 아닌,
우리 아이들과 아직 열심히 살아가야 할 우리 부모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셔서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 청소년들과 모든 부모님들께 진심으로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