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로부터의 수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9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김연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스토예프스키의 가장 유명한 4대 장편, 죄와벌, 카마라조프가의 형제, 악령, 백치를 모두 읽었다. 글자 한 자 못읽는 무식한이라도 명화앞에서면 무언가 감동을 받는 것 처럼, 거장의 작품들에서 무엇하나씩은 감동을, 사색의 시간을 얻었다. 

공부할 생각없이 소설 읽듯 읽은 그의 소설을 완전히 다 이해하겠다는 건 오만이다. 그런데 그렇다고 손쳐도 소설로 읽어도 도스토예프스키 책은 이해가 가질 않았다. 최고의 지위, 명예를 가진 등장인물들이 '발광'하듯이 비이성적인 짓들을 저지른다. 내 지식의 천박을 떠나 작중인물들에게 도무지 공감할 수 가 없다. 도스토예프스키를 읽으면서 느낀 가장 큰 벽이었다. 

지하로부터의 수기는 그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인간이란 2 x 2 = 4라는 이성적 진리만으로는, 이성의 궁전인 수정궁안에서만 살 수 없는 존재라는 것. 과연 이성이 인간에게 가장 좋은 것인지, 비이성적 욕망, 광기라고 할 만한 그것이야 말로 인간 실존의 표현이 아닐런지.  과연 이 답변을 듣고나니 가장 최근에 읽은, 악령에 관하여 두서 없이 산만한 실패작이라는 평을 내린 것이 참으로 부끄럽게 여겨진다.  

지하로부터의 수기를 읽으며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을 떠올렸다. 인간실격의 '광대 같은 나'나 지하로부터의 수기의 '지하인간'은 분명 다른 인간상이지만 세상으로부터 스스로 유리되었으면서도 세상으로 나아가고 싶어한다는 점에서, 세간을 비웃으며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혐오한다는 사실에서.   

지하로부터의 수기를 읽고 나니 내가 '읽었다'라고 생각했지만 읽은게 아닌 위의 4대 장편 소설을 다시 읽고 싶다는 호기가 들기 시작한다. 이번에 다시 읽으면 분명히 새로운 무언가를 느끼고 배울터. 혹 도스토예프스키를 접하고자 한다면 가장 먼저 지하로부터의 수기를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지하로부터의 수기야 말로 도스토예프스키의 대작들을 관통하는 키워드이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