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309동1201호(김민섭)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저자가 본명을 밝히지 않고 ‘3091201라는 필명으로 펴 낸 것이다. 저자가 마침내 대학교와 인연을 끊고 대리운전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그 경험을 바탕으로 대리사회라는 책도 펴냈는데(조만간 읽고 싶은 책이다.), 아마 이때부터 공식적으로 본명을 사용했을 것이다.

책은 대학사회라는 것이 사회적 위치나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얼마나 기괴하게 뒤틀려 있는지 다시 상기하도록 한다. 대학교(지방 사립대)에서 밥벌이하고 있는 입장에서 저자가 이런 글을 남긴 이유가 이해가 된다. 이런 글이라도 남기지 않았다면 훨씬 빨리 무너지지 않았을까? 가끔은 나도 내가 겪은 일들을 적나라하게 글로 적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데, 글로 쓰면 위로가 될 것 같아서다. 정규직 교수로 일하고 있는 나도 때로 느끼는 충동을 대학원생으로, 시간강사로 지낸 저자는 훨씬 더 강렬히 지속적으로 느꼈을 것이다.

외부인의 시선으로 오늘날의 대학 모습을 전체적으로 잘 보여주는 책은 오찬호씨의 진격의 대학교가 있다. 하지만 내부자의 시선은 좁을지언정 더 날카롭고 생생할 수 있는데 내부자로 계속 남아 있으면서 이런 비판적인 글을 남기기는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시간강사라면 교수가 될, 또는 시간강사라도 계속 유지할 희망을 아예 버리기 전에는 말이다. (이희진의 흡혈귀가 지배하는 세상, 대학 도 저자가 대학교수가 되겠다는 꿈을 완전히 접은 후에 나온 책이다. 너무나 목소리가 크고 거칠어 교수보다 더 뒤틀린 거악, 사학재단의 모습을 잘 보지 못했다. 교수를 욕하다 자신의 목이 다 쉬어버렸다.) 내부자로써 대학의 으그러진 모습을 간간이나마 세상 밖으로 내놓는 이가 부산대의 강명관교수인데, 지방사립대에서 밥벌이하는 사람들에게는 국립대교수가 재단에 휘둘리지 않아도 되는 부러운 존재가 된다. 그만큼 교수직에도 스펙트럼이 넓다는 것이다. 일반인들에게 교수는 대학원생들의 아이디어를 뺏고, 노동력을 갈취하는 존재로 뉴스에 자주 등장하지만 이 같은 일은 아마 수도권의 상위권 대학이나 지방 국립대쯤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 외의 대학들, 숫자로는 훨씬 많은 지방 사립대에서는 대학원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억지로 뽑은 학생들에게 교수가 다 쓴 논문에다 학생의 이름만 걸쳐주고 발표 자료까지 만들어주면서 지방 학술대회에서 발표시키는 일들이 훨씬 더 자주 일어난다.

 

책은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는데 앞부분은 저자가 대학원생 시절의 일을, 뒷부분은 시간강사 시절의 일을 적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내 대학원 시절도 다시 떠오르게 하고 현재 내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대부분 제자였던 비정규직 조교들도 떠오르게 한다. 비정규직의 어려움(내가 있던 학교에서는 이들이 2년을 초과해서 근무할 수는 없다. 졸업생들을 채용하면서 취업률을 핑계로 정한 규칙이다.)이 실감나게 그려져 있고, 과거 내가 대학원생일 때의 억울했던 기억도 떠오르면서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그럼에도 한편으로는 조교직에도 교수직만큼 스펙트럼이 넓은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속한 학교의 조교들도 박봉에 여러 어려움이 있겠지만 분명 필자가 겪은 정도는 아니다. 사실 글을 읽으면서 이렇게 빡세게 조교를 돌리고도, 조교들이 떠나지 않고 학과가 운영되는 지 놀랐다.(지방 사립대의 공학계열 학과는 종종 시간강사도 구하기 힘들다. 어느 정도 자질이 되어야 하는데 그런 분은 강의수당이 적은 지방으로 잘 오지 않는다.)

후반부는 필자가 선생으로써 학생들과 마주하면서 겪은 일들이 주를 이룬다. 만약 내가 재단의 이사장이라면 이런 분을 학교로 모셔 와야 하지 않을까? 우리나라에는 좀 멋진 이사장이 있으면 무슨 큰일이 나는지 모르겠다.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이렇게 열심이었던 분이 결국은 대학을 떠났다는 사실이 가슴 아프다. 대학이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힘이 더는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닌지 착잡하다. 그나마 새로 대통령이 취임하고 나서 짧은 기간이지만 여러 분야에서 포기했던 희망들이 다시 자라는 분위기인데 교육, 개인적으론 특히 대학의 모습도 빨리 바뀌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