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이론 - 일반상대성이론 100년사
페드루 G. 페레이라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놀라움 자체!

 

누구나알고 있을 것 같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지난 100여 년 동안 수 많은 천재들이 끊임없이 이 이론에 도전하여 새로운 성과들을 계속해서 쌓아왔다는 점을 알고 놀랐다. 상대성이론이 언급되는 것을 수도 없이 봐 왔고, GPS 등에도 응용되는 하나의 완결된 법칙으로 이해해 온 나로서는 전혀 기대하지 못한 내용에 충격을 받았다. 상대성이론이 나오는 과정이나 배경지식 및 아인슈타인의 개인적 면도 상당히 언급되리라 예상했는데 전혀 뜻밖으로 상대성이론은 이미 나왔고 그 후의 얘기들로만 주로 채워져 있다.


또 다른 놀라운 점은, 단 한 줄의 수식이나 그림 또는 도표 없이 현대 물리학의 역사를 이처럼 흥미진진하게 서술했다는 점이다. 지은이의 전문지식뿐 아니라, 이야기를 전달하는 능력에 감탄했다. 다만, 책을 읽으며 어려웠던 점 중의 하나는 과학자들의 이름이 너무 많이 등장하여 일일이 좇아가기가 힘들었다는 것이다. 저자도 이를 염려했는지 책의 제일 뒷부분에는 인명 색인을 따로 두었다. 그만큼 서구에는 천재들이 풍성하다는 것을 자랑하는 것 같기도 하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자연의 이치를 파헤치기 위해 인간의 이성적 사고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서구인들(특히 영국과 미국)의 문화와 역사와 능력이 부럽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다.


최근의 교양서에서도 자주 눈에 띄는 초끈이론이나 다중우주라는 말도 책의 뒷부분에 등장한다. 결국, 물리학은 검증 불가능한 영역으로 옮겨 가는 것은 아닌지, 미래에 어떤 성과들이 나올지 궁금하다. 중력파가 마침내 검출되었다는 소식이 몇 년 전에 들렸는데 저자가 중력파가 검출된 이후에 이 책을 지었다면 뒷부분의 내용이 어떻게 더 풍성해졌을지도 궁금한 점 중의 하나이다.

 

저자는 마치 전공자들을 위한 것처럼 참고 문헌과 논문들을 성실히 실어 놓았는데, 일반인들이 들여다보기는 힘들 것이고, 다만 소련에서 이룬 과학적 업적들이 좀 더 자세히 소개되면 더 재미있을 것이다. 러시아어로 쓰인 과학서들이 많이 번역되면 좋겠다. 특히 냉전시기 그들이 서구와 경쟁하면서 또는 독자적으로 이룬 업적을 그들의 시각으로 읽으면 색다른 재미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오랜만에 정말 재있게 읽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