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색의 수수께끼 밀리언셀러 클럽 82
아베 요이치 외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수록된 작품들 모두 특유의 매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끈적이는 애증과 질투, 분노, 탐욕 같은 감정과는 약간 거리를 둔 소재들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다른 리뷰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이 소설은 대체적으로 단체(국가는 아니다) vs 개인 의 구도로 전개해 가는 특징 때문에 아마 청색이라는 분류로 묶은 게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 '푸른 침묵'과 '터닝 포인트' 그리고 '온천 잠입'을 흥미진진하게 봤다. 

'푸른 침묵'은 현실적으로 보면 개연성이 떨어지는 부분도 없진 않지만, 평범한 사람이 위기에 빠지게 되면 얼마나 정의로운 행동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위험이 생각보다 크다는 것을 알면 과연 용기를 낼 것인지 아니면 도피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여지를 줬다. 옛날 이야기 중에 아버지가 자신의 우정을 보여주기 위해 죽은 멧돼지를 갖고 친구집에 방문해서 사람을 죽였으니 숨겨달라고 말하자, 기꺼이 숨겨주던 친구를 보고 아들이 감동받았다는 게 떠올랐다. 아마 이 에피소드의 여자 주인공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작가의 이야기 중 하나가 이게 아니었을까 싶다. 내가 만약 억울하게 죽게 된다면, 이것을 이상하게 생각하고 끝까지 사실을 밝혀줄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이런 것? 그리고 엔딩도 마음에 들었다. 현실성이 좀 떨어진다고 해도, 이미 현실을 너무 많이 알고 있는 사람으로써 희망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굳이 이 소설까지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고 말하지 않아도, 충분히 잘 알고 있으니까 말이다.  

'터닝 포인트'는 현대적인 범죄-신용카드 관련-와 직업-백화점 보안사-을 소재로 다루면서, 적절히 비현실적인 로맨스 요소도 버무리는 성공한 작품이다. 사실 잘 보면 이 에피소드는 일반 로맨스 소설과 거의 비슷한 주인공들에 배경들 그리고 이야기 전개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작가가 솜씨있게 스릴감있게 잘 쓰고 소재들도 기발하고 흥미진진한 것들이라, 로맨스는 양념이고 범죄수사가 주가 된 멋진 작품이 되었다. 개인적으로 소설 도입부분부터 엔딩부분까지 서서히 장밋빛으로 물들어 가는 화선지를 보는 느낌이었다.  

마지막으로 '온천 잠입.' 일단 좀 웃고 시작하자. 으하하하!  

이것은 스토리만 보면 절대 웃을 수 없는 우발적 살인에 대한 이야기인데, 작가가 정말 사람 심리와 상황 설정을 교묘하게 잘 써가면서 이야기를 끌어가는 솜씨가 일품이라, 마지막에 가면 어느 순간 웃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이 소설은 설명해봤자 소용없다. 직접 읽고 작가의 술술 풀어가는 글솜씨를 봐야 웃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색의 수수께끼 -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가 18인의 특별 추리 단편선 밀리언셀러 클럽 91
도바 료 외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청색의 수수께끼>에 비하면 공공기관 요소가 좀 더 큰 것 같습니다. 

'검찰 수사 특별편' 과 '920을 기다리며'가 수록된 작품 중 가장 강렬한 인상을 줘서 그런 것도 있지만, <적색의 수수께끼>가 수록된 작품들 모두 개인 vs 개인 간의 여러 갈등과 숨겨진 사연에 촛점을 맞춘 글들이고 <청색의 수수께끼>가 개인 vs 기업(혹은 이윤 추구 조직?)간의 대립 구도를 많이 보여줬다면 이 백색의 수수께끼는 확실히 단체 vs 개인 사이에 있을 수 있는 현실적인 대립구도를 다룬 게 많습니다. 

그런 점에서 검찰 수사 특별편도 씁쓸했고 920을 기다리며도 엔딩이 긍정적인 것 빼면, 단체에 속한 개인이란 언젠가 희생되는 존재일 뿐이라는 메시지도 만만찮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청색의 수수께끼와는 또다른 차가운 시점을 느꼈고-보다 사회비판적인 시선을 짙게 느꼈답니다. "Blue Steel"이 말이 생각나더군요- 적색의 수수께끼보다 덜 끈적거리더군요.  

 이 두 개 에피소드 외에 첫번째 에피소드 '사령의 손'은 에도 시대를 배경으로 해서 술술 읽히는 치정 살인(?)추리물입니다. 범인도 살해 동기도 어느 정도 예측가능하지만 옛스러운 맛과 무난한 전개 솜씨가 괜찮아서 백색의 수수께끼 도입부로 괜찮은 것 같습니다. 만약 처음부터 '920을 기다리며'같은 작품이 있었다면 저같은 독자는 좀 부담스럽게 느끼고 나중에야 이 책을 읽었을 겁니다. ^^;  

마지막 작품인 "방탕아의 귀감"은 반전도 신선하고 인간 내면의 어두운 부분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솜씨가 일품이었습니다. 보다 보니 아마 사람 누구나가 가지고 있을 비틀린 부분을, 그럴 수도 있다고 수긍할 수 있게 잘 묘사해서 왠지 마음이 찝찝하기도 했습니다. 이 에피소드는 사람 vs 사람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글 자체가 시사하는 바는 앞의 두 작품 못지 않게 은근히 무겁습니다. 보고난 뒤 가장 씁쓸하더군요.  

결론은 여름에 보기에 괜찮은 소설이라고 추천하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제3의 시효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김성기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6월
평점 :
판매완료


반장들의 개성이 마음에 들어서 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내가 죽인 소녀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6
하라 료 지음, 권일영 옮김 / 비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레이몬드 챈들러가 많이 생각나지만, 보다 더 매력적인 탐정이 나오는 재미있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유괴
덴도 신 지음, 김미령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씁쓸한 미소와 유쾌한 웃음을 같이 느낄 수 있던 소설. 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