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엔드에 안녕을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7
우타노 쇼고 지음, 현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마디로 이 소설은 일본 사회에 횡행하는 여러 문제를 추리소설이란 형식으로 짚어보는 글이다 . 

 

추리소설이랑 장르상, 그리고 뇌리에 콕 박힐 만큼 영향력이 있어야 하는 특징상, 

개개의 에피소드 모두 극단적인 결과에 치닫는다. 아마 작가가 다소의 시사풍자와 교훈을 주기 위해 면밀히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한 뒤 치밀하게 의도한 결과이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읽다보니 문제는, 이렇게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정하고 보여준 "허구(혹은 이미 일어났던 과거)의 상태보다
아직 극에 다다르지 않았지만 위험수위 언저리에 찰랑대고 있는 "현실"이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특히 소설내 사소한 것들이 쌓이고 쌓여 빵 터지는 것이라고 단언해서 표현한 부분처럼,
이미 많은 모순과 불합리 그리고 비이성적인 행동과 관습과 생각이 지금고 계속 쌓이고 있는 가정, 학교 그리고 사회가 도대체 어떤 결과가 나올 지 더욱 두려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잔인함과 비이성적인 성향이 이미 도를 넘은 일본의 각종 범죄나-여러 추리 소설 및 영화의 소재로도 쓰인 유괴살인 사건, 지하철 사린 살포 사건, 광신교 사건, 연쇄살인 사건, 재미로 납치 감금 후 폭행살해한 사건 등- 이중적이고 계산적인 일본 현대 사회풍토가 이 소설에 나온 것처럼 쌓이고 쌓인 어떤 비뚤어진 것들의 결과물이라는 걸 조금은 납득하게 된다.  

문제는 과연 우리나라는 이런 극단적인 결과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안심할 수 있냐는 것...? 

일본인들만의 어떤 특성-요코미조 세이시나 다카노 카즈아키 그리고 시마다 소지의 소설 등에서 종종 느낄 수 있는-때문에 생긴 살인 사건도 있었지만, 만민 공통의 욕망과 감정 때문에 생긴 사건도 있었다. 또 우리나라와 일본이 비슷한 교육열, 남녀차별 그리고 성범죄 등은 사건 형태면에서 충분히 겹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래서 소설을 읽으면 읽을수록 입맛이 쓰고 마음이 무거워진다. 
다 읽고 나면 뒤돌아보지 않고 멀리 치울 것 같다. 이 소설은 생각할 것을 여러 모로 던져주지만 내가 생각하는 훌륭한  추리소설의 특징(인간에 대한 희망)은 다 갖추지 못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