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 눈
미야베 미유키 지음, 정태원 옮김 / 태동출판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보는 작가부터 한창 이름 날리는 작가까지 다양한 9명의 작가들의 단편들이 알차게 들어가 있다.
특히 다나카 요시키나 모리무라 세이이치, 요코야마 히데오는 개인적으로 반가운 이름이었다. 

수록된 단편들은 거의 작가의 개성이 살아 꿈틀거리는 글들이었는데, 간략하게 설명해 보면,


<절단>의 경우 십각관의 살인에서 느꼈던 기괴하고 미끈미끈하면서 섬찟한 분위기가 소설 마지막에 진하게 느껴졌고, (지금 이 순간도 불쾌한 기분이 들 정도로) 

<눈과 금혼식>은 아리스가와 아리스 특유의 어딘지 소년소녀다운 감성이 살아 있는 반짝거리는 싸래기눈 같은 추리소설이었다.  

<50층에서 기다려라>는 신주쿠 상어가 살짝 등장하는 작품인데 단단하게 짜인 스토리와 의외의 반전으로 흥미진진해서, 이 작가의 다른 작품도 읽고 싶게 만들었던 단편이었고, 

  <영국 셰필드>는 시마다 소지라는 작가 이름을 마지막에 다시 확인하고 읽었던 작품이었다. 뻔하지만 그래도 감동적인 이야기여서 작가만 보고 편견을 가지고 읽다가 허를 찔렸던 글이다. 

<오래된 우물>의 경우, 다나카 요시키의 거장 및 노장 다운 노련함으로 마지막까지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이 소설은 가해자, 피해자 그리고 원죄(?)자  모두 단정지어 얘기할 수 없는 긴 여운을 갖고 있다.  

<여름의 빛>은 음... 미치오 슈스케의 작품인데 추리가 약간 가미되긴 했지만, 미스테리나 추리 소설이라고 붙이기엔 약한 스토리다. 한 아이의 오해에서 비롯된 시골전원에 일어난 작은 소동을 다룬 것으로 약자에 대한 편견과 따돌림을 무겁지 않게 풀어냈고 일본 단편 영화로 만들면 좋을 이야기 같다. 마지막의 깔끔한 한 줄을 보면 시원한 감동 같은 것도 느껴졌다.  

미야베 미유키의 <도박눈>은 그녀의 작품 <메롱>이 떠오르는 작은 소품으로 신령스런 존재와 사람들간의 돈독한 유대와 연합 작전으로 가문에 내려오던 저주(?)같은 것을 해결한다는 줄거리다. 특히 마음을 끄는 건, 신령스런 존재가 도박눈이라고 불리는 요괴를 퇴치한 후, 그 일가족에게 일 년 동안 도박눈의 재료가 된 사람들에게 공양을 올려야 한다고 말하면서  
"그것들도 옛날에는 사람들이었으니까."
라고 말하는 부분이다. 아마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게 이게 아니었을까 한다.  

<하늘이 보낸 고양이>는 모리무라 세이이치가 일련의 작품에서 다룬 '인과응보' 주제가 그대로 살아있는 단편이었다. 특히 고양이란 소재는 어쩌면 천벌처럼 나타나 결정적인 증거이자 알리바이(?)가 되어 주는데, 비현실적인 듯 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캐릭터들을 도와준다. 이 작가의 글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 선의는 언젠가 밝혀지게 되는 거라는 거다. 

요코야마 히데오가 <제3의 시효>에서는 초지일관 냉정한 모습으로 살인 사건의 비정한 면모를 파헤치는 수사관들을 다뤘지만, 이 단편에서는 뜻밖에도 사람 사이의 정이 약간 느껴졌다. 병동의 죽음을 앞둔 환자들의 모습조차도 냉혹한 시선으로 묘사했지만, 마지막 부분에서 오가는 대화들은 묘하게 친근하고 정이 담겨 있어, 재목이 왜 <미래의 꽃>인지 살짝 짐작할 수 있었다. 

미스터리 소설 모음집이나 탄탄하고 긴박한 추리 단편을 기대했다면, 아마 실망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한 작가들이 쓴 작품들이 보고 싶을 뿐이라면, 충분히 읽을 만한 단편들이다. 나의 경우, 뒤로 갈수록 꽤 행복하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