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을 탐하다 - 도시에 담긴 사람·시간·일상·자연의 풍경
임형남.노은주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빼놓지 않고, 게다가 두 세번씩 보는 방송들이 있다. 주로 건축, 집들을 소개하는 방송들이다. 집을 짓고 싶다라는 소망에 집을 짓는 책도 많이 사서 구경도 해보았다. 그러다 알게 된 분들이 임형남, 노은주 소장님!! 이분들은 매주 건축탐구 집이란 방송에서도 만나고 있다. 늘 감탄하는 것은 이분들의 언어!! 건축하시는 분들은 사람의 마음을 한없이 풍요롭게 해주는 언어적인 능력이 있다. 그래서인지 이분들의 이전 책들을 접할 때에도 맛있고 멋있게 그리고 편안함으로 끝까지 책을 읽고 덮을 수 있었다.

'공간을 탐하다'라는 이 책 역시 편안하고 따뜻함이 느껴진다. 방송에서 봤던 대로 언어적 표현력이 뛰어나 맛이 있다. 경험적인 내용이라도, 지식적인 내용이라도 이상하게 그 장면들이 머릿속으로 그려진다. 서울역을 설명하기까지의 전차와 기차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때에는 겪어보지 못했음에도 오래된 풍경이 추억처럼 펼쳐진다.

이분들의 이름을 봤을 때와 책 머리의 '불행히도 우리에게 건축은 아직 문화가 아니라 산업이며 재산 증식의 수단일 뿐이다'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 건축에 관한 책이라고 생각했지만, 제목대로 이 책은 공간을 살펴보고 있다. 건축가들을 늘 존경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이들이 건축 뿐 아니라 미술, 예술, 역사, 삶, 문화 등 다방면에 박식하다는 것인데, 도시의 공간, 기억의 공간, 놀이의 공간, 휴식의 공간을 따라 흘러가다 보면 역사는 물론 영화, 대중 가수, 정치, 법 등 다양한 측면의 지식들에 또다시 감탄하게 된다. 감사하게도 어려울 수 있는 이야기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좋다. 뿐만 아니라 지식 속에 낭만과 인간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 배려도 쏘옥 들어가 있어 자연스레 고개도 숙여진다.

서울역, 선유도 공원, 광화문 광장처럼 익숙한 공간은 익숙해서 들여다 보게 되고, 산 카탈도 공동묘지, 데시마 미술관 같은 추상적인 느낌의 외국 풍경들은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 들여다보게 된다. 오래전 읽었던 어떤 책에서 국회의사당의 건축가들은 그 이름을 빼고 싶었다 했는데 이유는 기억이 나지 않아다가 이 책에서 다시 한번 설명을 듣게 되어 반갑기도 하면서 웃픈 마음이 들었다. 책에 담겨진 사진들도 소소하면서 오래 바라보게 되는 편안함이 있다. 이상하게도 '공간을 탐하다'라는 제목부터 '사람이 모이고 사람을 담다', '탐욕 위에 희망을 세우다', '자연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다'와 같은 소제목들도 감탄스러웠다.

건축, 도시, 공간은 결국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고 사람들이 만들었으며 사람들을 둘러싸고 있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오래되고 낡고 쇠락해간 공간들도 있지만 사람들을 담기에 도시재생이라는 표현이 아니라도 공간에는 무언가 벅찬 그것이 있다. 외국의 공간들도 포함되어 있어 쉽게 이루긴 어려워도 '나의문화유산답사기'처럼 한곳 한곳 이 책에 담겨진 기록을 참고하며 그 공간들을 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