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을 긋는 소녀 - 샤프 오브젝트
길리언 플린 지음, 문은실 옮김 / 푸른숲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몸을 긋는 소녀'라는 제목에서 예전에 어떤 소설에서 읽었던 '커터'가 떠올랐습니다. 자신의 몸을 날카로운 칼로 긋는 것으로 마음의 위안을 찾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었는데 상당히 충격적이었습니다. 칼로 베인다는 행위 자체에 유난히 거부감을 갖고 있는 나로서는 칼로 자신의 몸을 긋는 것으로 위안을 얻는다는 사실 자체가 놀라웠습니다. 폭력배들이 다른 사람을 위협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여주기 위해 자해를 하는 장면은 영화에서 보긴 했는데 스스로를 위안하는 방법으로 몸을 칼로 긋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은 놀랍기만 했습니다. 이 소설 <몸을 긋는 소녀>의 주인공 카밀도 자신의 몸에 단어들을 칼로 긋습니다. 카밀은 어떤 상처를 가지고 있기에 그런 행동을 해야만 했을까요.

 

시카고에서 기자로 일하고 있는 카밀은 편집장의 명령으로 고향 윈드갭으로 취재를 가게 됩니다. 엄마와 새아버지, 그리고 엄마와 새아버지 사이에 태어난 동생 엠마가 살고 있는 윈드갭에 카밀은 가고 싶지 않았지만 편집장의 압력에 굴복하고 맙니다. 윈드갭에서 여왕같은 삶을 살고 있는 엄마와는 살얼음판을 걷는 듯 위태롭기만 합니다. 윈드갭에서는 1년 전에 한 소녀가 살해 당했고 얼마전에도 비슷한 또래의 소녀가 행방불명되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그 사건을 취재하기 위해 윈드갭으로 온 카밀은 1년 전에 살해 당한 소녀의 가족을 만나는 것으로 첫취재를 시작합니다. 행방불명 되었던 소녀도 결국 시신으로 발견되고 카밀은 연쇄살인을 파헤쳐갑니다.

 

사건에 근접하면 할수록 카밀은 어려서 세상을 떠난 동생 메리언이 떠오릅니다. 마을 사람들을 만나면서 카밀은 동생 메리언의 죽음에 의문을 갖게 되고 자신을 힘들게 했던 정체에 점차 다가갑니다. 카밀과 엄마와의 관계의 비밀이 드러나고 메리언의 죽음에 대한 비밀도 드러나면서 엠마와의 관계 또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됩니다. 연쇄살인과 카밀 가족과의 연관성이 드러나면서 이야기는 절정으로 치닫습니다. 이야기는 끈끈한 점액질처럼 마음에 들러붙습니다. 책장을 접어도 개운치가 않고 무언가 찜찜한듯 느껴집니다. 길리언 플린의 다른 작품도 그랬지만 데뷔작인 <몸을 긋는 소녀>는 더욱 그랬습니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만드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