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레드 라인
제임스 존스 지음, 이나경 옮김, 홍희범 감수 / 민음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 나라가 전쟁을 겪은게 그리 오래전도 아닌데 평소 전쟁이란 나와는 거리가 먼 얘기라고만 생각했었습니다.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남과 북의 관계가 살얼음을 걷는것 같았을 때에야 비로소 우리가 휴전국가임을, 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사실을 피부로 느꼈습니다. 그리 생각하니 오싹해집니다. 전쟁이라니.... 소설이나 영화, 뉴스 속에서나 만나던 무서운 일이 내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무섭기만 합니다.

 

1962년에 쓰여진 <신 레드 라인>은 내게 영화로 더 익숙했습니다. 조지 클루니, 숀 펜 등 쟁쟁한 배우들이 등장했고 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으로 기억되어 있었습니다. 영화로 기억되어 있던 <신 레드 라인>이 700페이지 가까운 대작의 모습으로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는 소식은 반가웠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좋은 영화의 원작을 읽는 기회를 놓칠수 없을겁니다. 부리나케 <신 레드 라인>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1942년 11월, 과달카날 섬에 미군이 투입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비행장을 지으려는 일본군을 저지하기 위해 스타인 대위가 이끄는 C중대가 과달카날 섬에 도착합니다. 인명 손실을 줄이기 위해 애쓰는 스타인 대위와 훌륭한 장교는 때로는 죽음을 명령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톨 중령은 날선 대립을 합니다. 소설은 병사 개개인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조명하며 전쟁의 참상을 독자에게 전합니다. 퇴역 장교였던 벨은 아내 걱정에 여념이 없고, 스톰 하사는 누나 가족을 걱정합니다. 행정병 파이프는 후임병과 동성애에 빠지고, 후방으로 전출되었던 위트는 함께 싸우겠다는 생각으로 자신의 부대를 이탈하고 찾아옵니다.

 

C중대의 병사들은 점차 전쟁의 잔혹함에 물들어 갑니다. 항복 의사를 표하는 일본군을 보복이라는 이름으로 잔혹하게 죽이면서도 크게 죄책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죽인다'는 것에 대해 무감각해지면서 상대방을 공격하는데서 자신감을 얻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들은 곧 깨닫게 됩니다. 자신들은 그저 장기판 위의 '말'에 불과하다는 것을 말이죠.

 

이 책의 저자 제임스 존스는 실제로 이 책의 배경이 되는 과달카날 전투에 참전했었다고 합니다. 2차 세계대전의 최대 격전지 중 한곳으로 꼽히는 과달카날 전투의 참상을 자신의 경험과 고증을 통해 소설로 그려냈다고 합니다. 전쟁 영웅담이 아니라 전쟁에 참여한 개개인의 아픔을 들여다보는데 주력했는데 자신의 경험이 있었기에 더욱 마음에 와닿는듯 했습니다. 대단한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지만 한 명, 한 명의 진솔한 모습을 통해 무언의 이야기를 건네고 있습니다.

 

참혹한 상처가 남을 수 밖에 없는 전쟁을 대체 왜 하는걸까요. 전쟁에 저마다의 명분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결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는 이기적인 명분만이 남습니다. 규모를 축소해서 생각하면 내 이익만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는게 결국 전쟁의 근본이 아닐까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우고 전쟁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안에서 상처받고 다치는 사람은 셀 수 없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어떤 명분이라 하더라도 전쟁을 하면 안되는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전쟁의 참혹함과 상처에 대해 깊은 생각을 던져준 <신 레드 라인>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