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 완결 편
이케다 가요코 지음,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인구가 100명쯤 되는 마을은 얼마나 작은 마을일까.

그런 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서로 싸우지도 않고 항상 사이좋게만 살고 있을까.

 

책을 읽기 전에 제목만 보고 퍼뜩 떠오른 물음들이다. 인구가 적은 모든 마을이 다툼이 전혀 없지는 않겠지만 서로 무관심과 무신경으로 일관하는 도시보다는 훨씬 사이좋은 마을일거란 생각이 든다. 68억 명이 살고 있는 지구를 100명이 살고 있는 마을이라고 생각한다면 어떨까. 지금보다는 사이좋게 살 수 있지 않을까.

 

1000억이라는 돈보다는 1000만원이 내게는 좀 더 현실감 있게 느껴지는것처럼 68억 명을 기준으로 말해주는 통계수치보다 100명을 기준으로 말해주는 통계수치가 더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의 사람들이 많은 문명의 혜택을 누리면서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는 사실은 들어왔지만 구체적인 숫자로 들으니 그 놀라움이 더욱 크다.

 

"한 사람이 1년에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45명의 개발도상국 사람이 1톤이며,

15명의 유럽 선진국 사람이 10톤입니다.

5명의 미국인이 20톤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p.27)

 

겨우 5명의 미국인이 45명의 개발도상국 사람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의 20배를 배출하고 있다니... 한 사람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미국인이 개발도상국 사람의 180배를 배출한다. 어마어마한 양이다. 미국사람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을까. 나는 얼마나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서 살고 있을까 살짝 반성하게 만든다.

 

"마을에는 모든 마을 사람이 배고프지 않을 만큼 먹을 곡물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 사람이 먹는 것은 48%입니다. 35%는 가축이 먹습니다. 17%는 자동차의 연로 등에 쓰입니다." (p.34)

 

우리나라 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 빈부의 격차는 전세계를 기준으로 놓고 보아도 심각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부자나라 사람들이 먹을 가축들을 키우기 위해서 곡물의 35%를 쓰고 있다니... '나'가 아닌 '우리'를 기준으로 시야를 넓혀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렇게 하면 굶주림에 죽어가는 사람들이 조금은 줄어들 수 있을테니 말이다.

 

인구가 많은 복잡한 도시에서는 작은 마을에서처럼 사이좋게 사는 일은 불가능할까. 작은 마을에서 사람들이 서로 사이좋게 살아가는 이유는 마을 사람 모두가 나와 가까운 사람이라는 의식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싶다. 나만 생각하는 마음보다는 우리 마을 사람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앞서면 서로 다툴일도 줄어들고 나만의 이익을 위해서 뻔뻔해지기도 어려울거다.

 

그런 의식을 조금 더 넓혀서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들을 가까운 사람이라고 인식할 수만 있다면 이기심을 조금은 버릴수 있을테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세계 곳곳에서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을 마음으로 끌어안는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나도 우물안 개구리에서 벗어나 넓은 시야로 세계인을 바라보는 마음을 기르고 싶다. 조금더 좋은 세상을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