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걷다 - 2009 경계문학 베스트 컬렉션 Nobless Club 11
김정률 외 지음 / 로크미디어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경계문학의 정확한 정의는 모르겠지만 SF, 추리, 무협, 미스터리 등등을 다루는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우리나라의 경계문학의 기반은 아직 취약하다고 느껴진다. 우선 나부터도 일본 미스터리는 거의 올인하다시피 읽으면서도 우리나라 미스터리에는 제대로 관심을 기울여본적이 없으니 누구를 탓하랴. 일본의 장르소설들을 읽다보면 그네들의 방대하고 다양하고 탄탄한 장르문학의 기반이 부럽기 그지없었다.

 

다행히도 최근들어 취약하기만 우리나라의 경계문학들이 기지개를 펴고 일어서고 있는 분위기다. 조금은 가벼운 소설이라 홀대받던 경계문학이 새롭게 조명받는 듯해서 '2009 경계문학 베스트컬렉션'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온 이 책이 반갑고 또 반갑다. 어떤 환상적인 이야기들로 나를 꿈꾸는 듯한 세계로 이끌어줄지 기대감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12명의 작가들의 작품을 모아놓았는데 아주 짧은 단편부터 제법 중편쯤은 될듯한 소설까지 다양하게 실려 있다. '베스트컬렉션'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12명의 작가들은 우리나라 경계문학에서 주목받는 작가들이고 우리나라의 유일하다 할 수 있는 장르문학 잡지 '월간 판타스틱'에 실렸던 작품들도 있었다.

 

12편의 이야기들이 각기 다른 매력을 갖고 있어 두툼한 책을 읽는 동안이 지루하지가 않다. 무협 장르를 그리 즐기지 않는 내게 무협 분위기가 느껴지는 작품이 많은건 조금 아쉬웠다. 그 중에서 내 마음을 제일 끌었던 이야기는 이재일님의 <삼휘도에 관한 열두 가지 이야기>와 전민희님의 <11월 밤의 이야기>였다. <삼휘도에 관한 열두 가지 이야기>는 무협이라 할 수 있는데 문체가 시종일관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게 마음에 들었다. <11월 밤의 이야기>는 내가 꼭 좋아하는 분위기의 소설이었다. 조금은 으스스하고 환상적인 이야기가 마음에 들어 장편으로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런 경계문학을 좋아하는 이유는 꿈을 꾸는듯한 환상을 느낄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책을 읽는 동안 잠시 현실의 모든 것을 잊고 중원의 칼잡이로, 미지의 세계에서 왕으로, 으스스한 마을의 마법사로 마음껏 환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어 행복했다. 아직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흥미위주의 가벼운 소설로 치부되는 상황이 안타깝긴 하지만 앞으로는 새로운 장르로 당당히 자리잡기를 바래본다. 2010 경계문학 베스트컬렉션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들어있을지 벌써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