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양으로 읽는 인문학 클래식 - 당당하게 살기 위한 최소한의 지식
이현성 지음 / 스타북스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3천년의 세월동안 대륙에 존재했던
수많은 나라들, 그 시대를 이끌었던 여러 인물들의 행동과 사상에서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지혜들을 배울 수 있기에, 고전 기록들은 오랜 세월동안
전해 내려오면서 오늘날까지도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동양 고전 15권을 정리한 책으로, 단순히 내용을 요약해 놓은
것은 아니고 그 15권 안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주제인 ‘지도자론’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한다.
1장 ‘정치와 외교’편에서는
<정관정요>로 시작한다. 당 태종과 명신들과의 ‘정치문답집’으로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할 수 있는 정치의 요체가 수록되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 여러 임금과 많은 정치가들이 그 내용을 배우고 가르칠 만큼 훌륭하게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는 제왕학의 대표적인 교과서라 할
만하다. 평생 겸허한 태도를 유지하며 일생 동안 초심을 유지했다고 하는 당 태종은 완벽에 가까운 제왕을 추구했다고 느껴진다.
나라를 다스리는 동안 어떠한 반란도
일어나지 않았고 백성과 부하가 합심하여 따랐던 제갈량의 통솔력의 비결도 소개하고 있는데, 신상필벌주의를 철저하게 지킨다, 매사에 사심 없이
공정하게 임한다, 솔선수범하여 부하와 백성들을 대한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병사의 능력을 파악하여 적재적소에 부하를 배치해야 하고, 예(禮),
의(義), 충(忠),신(信)을 가르친 후 군령을 행하고 상과 벌을 내려 훈련시키고, 다 같이 교육받고 훈련하기보다 피라미드식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즉, 이상적인 조직 관리 체제는 인간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 일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라는 것이다.
지도자에게는 부하의 능력을 끌어내고
조직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p93)
2장 ‘병법과 지도자’편에서는
병법서들에서 다루고 있는 정치 문제들이 정리되어 있다. <육도>, <삼략>의 태공망은 정치의 핵심을, 백성에게 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고, 형벌을 간단하게 하고, 세금을 가볍게 하고, 낭비를 줄이는 등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는 일이라고 보았다고 한다. 전술과 전략을
익히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 이상으로 국가의 안정과 백성의 호응이 있어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3장에서는 역사서에서 얻을 수
있는, 지도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살펴본다. 지도자는 관용을 베풀고 포용력이 있어야 부하의 신뢰를 얻을 수 있고, 강인함과 유연함을
적절하게 조화시키는 정치를 하고, 승산 없는 싸움에서는 빨리 퇴각하여 불필요한 손해를 줄여야 할 것이다.
4장에서는 ‘처세와 방법론’이라는
제목으로,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은 무엇이 있는지, 위기 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행동에 옮길 때는 천하의 형세를
관찰하고 일의 순서를 생각해야 하는 등 인간관계에서 중요시해야 할 점들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장양호의 “혼자서 모든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대성인(大聖人)이나 대현인(大賢人)이라 할지라도 불가능하다”라는 말이 깊이 있게 다가온다.
지도자 상의 부재를 절실히 느끼는
요즘 시대에, 이 책은 고전 속의 리더십을 공감하는 독자들에게 허전한 마음을 채워주고 제대로 된 지도자에 대한 판단력을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스타북스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