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인들은 반드시 옳다고 여기거나 반드시 틀리다고 무시해야 하는 융통성 없는 규칙을 가진 적이 한 번도 없었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교리‘, 즉 견고한 도그마와 직업적 사제 계급이 있는 그런 ‘교리‘, 세속의 교수대로 사람들을 위협하는 그런 ‘교리‘가 없었기 때문에, 각 지역의 사람들은 각자의 종교적인 생각과 윤리적 개념을 각자의 취향에 맞게 마음대로 고칠 수 있었다. - P37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가르쳤는데, 소크라테스는 아예 "인간의 보이지 않는 양심은 만물의 궁극적인척도이며(또는 척도가 되어야만 하며, 우리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은신이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이다."라고 설교했다. - P51

철학자(소크라테스)는 이렇게 논쟁했다.
"땅 위의 어느 누구도 다른 이에게 무엇을 믿으라고 명령할 권리가 없으며, 각자 원하는 대로 생각할 권리를 빼앗을 권리가 없다." 나아가 이렇게 말했다. "만약 사람이 자신의 양심에 거리낌이 없다면, 친구들이 인정해주지 않거나 돈이나 가족, 집이 없어도 잘 지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하나하나의 문제를 놓고 찬성과 반대 의견 모두를 철저히 검토해보지 않고서는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사람들은 어떤 문제든 완전히 자유롭게, 권력의 간섭 없이 토론할 수 있어야만한다." - P52

퀸투스 아우렐리우스 시마쿠스‘는 화해를 제안하는 그 유명한 편지를 썼다. 그는 이렇게 물었다.

"우리 이교도와 이웃 기독교인이 평화롭고 조화롭게 살지 못할 이유가 무엇인가? 우리는 모두 같은 별을 바라보고 있다. 같은 행성에 사는 동료 여행자이고 같은 하늘 아래서 살고 있다. 각 개인이 궁극적인 진리를 찾기 위해 어떤 길을 따르는지가 뭐 그리 중요한가? 해답에 이르는 길이 오직 하나여야 한다고 말하기에는 존재의 수수께끼가 너무나 크다" - P103

테미스티우스는 이렇게 말했다.

" 어떤 통치자도 감히 권력을 행사할 수 없는 영역이 있습니다. 그것은 덕의 영역, 특히 개인의 종교적인 신앙의 영역입니다. 신앙의 영역에 무언가를 강요하게 되면 사기를 바탕으로 한 전향과 위선을 낳습니다. 그렇기에 통치자는 모든 종교를 관용하는 편이 훨씬 낫습니다. 시민의 분쟁은 오직 관용에 의해서만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관용은 신의 법입니다. 신은 당신이 많은 종교를 바라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계십니다. 그리고 오직 신만이, 인류가 신의 신비를 이해하려고 열망하는 여러 방법을 두고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신은 당신께 바쳐지는 다양한 경배를 기뻐하며 받으십니다. 신은, 기독교인들은 기독교식으로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식으로 이집트인들은 이집트식으로 예배드리는 것을 좋아하십니다." - P104

삶은 진보를 뜻하고, 진보는 고통을 뜻한다.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