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온한 부자 - 건강한 가정을 만드는 부모의 언어와 태도
주용식 지음, 공인화 삽화, 김현수 캘리그래피 / 대경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댁의 자녀와 사이는 좋으신가요?

부자 ( 부모와 자녀) 사이엔 서열이 있나요? 권력이 있나요??? 아니면 평등한가요?

그리고 자녀와 소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시나요?

 

책을 읽고 나서 생긴 물음표들 이에요..

그리고 반성도 많이 했구요..

 

건강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선 ,그리고 자녀와 소통하기 위해선 부모가 먼저 변해야 한다는 걸,,, 머리로는 항상 알고 있지만,,, 이렇게 책으로 읽으니 좀 더 와 닿았어요.

 

제가 읽은 책 제목은 평온한 부자 입니다.

현직 국어교사이신 주용식 작가님께서 쓰신 책이고,, 책 내용엔 학부모와 상담, 내담자와 상담 하는

일화도 꽤 나와 있어서 흥미로웠어요.


 

 

제 (40대 ) 가 어렸을때는 도로에 차도 많이 없었고, 납치나, 살인도 지금처럼 있었겠지만, 인터넷이나, 휴대폰이 없어서 그런지 그런 소식들은 잘 접하지 않아서 아이들이 크기 좋았던 시대 같아요. 저도 학원도 안다니고 매일 밖에 나가도 놀다가 저녁먹을때 쯔음 집에 들어갔어요. 그래서 부모님 세대들도 지금보다는 아이를 키우기 쉬우셨을꺼구요.. (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 그런데 지금 2023년은 유치원생들도 키즈폰은 다 가지고 있죠? 도로에 차는 즐비하고,,

아무리 조심히 걸어다녀도 인도위로 올라오는 차들도 난무하구요.... 그리고 묻지마 살인도 많죠.

이런 세상에서 이웃과도 단절된 가족들이 많기에,, 아이키우기는 더욱 힘들어졌어요.. 도와줄 이웃, 조부모가 없으니, 육아는 오로지 제몫이 되었거든요.

 

육아는 일종의 수련과정이라고 해요. 그리고 육아는 아이가 어릴수록,,

 

명확한 답변이나 즉각적인 해결책이 없다보니 몸도 힘들고 감정소모도 심하다.

육아는 우리가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한 상황의 연속이라 할수 있기에 부모의 스트레스는 상상을 초월한다.

p24

이 스트레스는 사춘기를 넘어선 청소년기 까지 간다고 하네요.


 

그래서 아이와 대화하면서 소통하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아이의 말을 무작정 들어주는 거 보다는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 주고, 타협하는거 같아요.

 

집에서 어떤 유형의 언어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혹시 아래의 그림과 같이 명령문을 사용하고 계신가요?


 

저도 한번씩 방 좀 치워!!! 정리 좀 해 !! 이런 식으로 명령조로 말한 적이 많은데,,, 책을 읽고 너무 부끄러웠어요. 이토록 험한 세상에 내가 낳은 아이 이쁘게 키우고 싶은데, 이렇게 소유물 처럼 여기고 명령조로 말하다니..  좋은부모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리고 알고 있어요. 그리고 아직 어려서 지금은 시키는 대로 하겠지만,, 점점 크고 사춘기가 오면 저랑 대화도 안하려고도 하는 시기가 올거니까, 지금 제가 바뀌어야 한다는 걸요.


 

부모의 적절한 감정표현은 명령이나 청유보다 효율적인 소통방법이 될 거에요.

그리고 주양육자인 내가 행복해야 나의 행복한 감정이 아이에게 전달되요. 아이를 제대로 사랑하려면 나부터 행복해져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아이는 태어난 자체만으로도 축복이고, 성장하며 먹고 싸고 울고 웃는 모든 일상이 부모를 행복하게 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자녀의 성공에 부모의 행복을 맡기지 말자, 내 행복은 나의 삶 속에서 찾아야 한다.

p181

내가 행복하기 위해선 내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내가 성장해야 해요..

그리고 분명한 감정표현이에요.

 

감정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은 자기반성, 진정성 , 갈등해결 및 스트레스 감소 등 개인의 성장을 촉진한다.

p221

나를 알기 위해서 자신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진정 본인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인지할수 있다면, 그리고 자녀에게 공감 할 수 있다면, 사춘기의 청소년기의 자녀와도 소통하는 것은 문제 없을 거에요.

 


 

작가의 말에 이런 말이 있어요.

- 부모의 양육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나의 자녀가 건강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깨달을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p283

 

부모는 스스로 생각하고 깨달을 수 있게 기다려 줘야한다고도 생각합니다.

 

기다림이 나의 성장, 자녀의 성장, 행복한 가정으로 이끌어 주지 않을까요.....?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