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눈에 펼쳐보는 세시 풍속 그림책 - 우리 명절에 전해지는 재미있고 뜻깊은 풍속을 배워요! ㅣ 한눈에 펼쳐보는 그림책
지호진 지음, 이혁 그림 / 진선아이 / 2024년 2월
평점 :

일 년 열두 달 우리 명절이 한눈에!
그림으로 읽는 재미있는 세시 풍속 이야기
《한눈에 펼쳐보는 세시 풍속 그림책》은 새해 첫 명절날 설날부터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섣달그믐까지 열두 달 세시 풍속을 재미있는 이야기와 그림으로 엮은 책이에요.
달마다 찾아오는 명절의 의미와 유래를 알아보고, 그날에 행하는 풍속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과 고유문화를 배울 수 있어요.
명절날 다양한 민속놀이와 먹거리, 명절에 얽힌 흥미로운 읽을거리와
여러 나라의 명절 풍속도 살펴볼 수 있어요.
저번주 일요일에 뉴스를 보는데 입춘이라는 말이 나왔어요. 아이가 입춘이 뭐냐고 물어보더라구요.
아이와 함께 입춘에 대해 공부했는데, 입춘대길 붙치는 풍속이 있더라구요.
엄마아빠도 모르는 우리나라의 고유 세시풍속 아이와 함께 공부해 봅니다.
잊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의 의미와 조상들의 지혜를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배워야겠어요.

어린이들이 세시 풍속을 더 쉽고 즐겁게 익힐 수 있도록
명절의 특징이 한눈에 보이는 세시 명절 표를 보면서 사계절과 달, 절기를 알아보아요.
친근하고 익살스러운 그림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답니다.
책 끝장에는 세시풍속에 대한 단어를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세시 풍속 그림책으로 열두 달 다채로운 명절 풍경을 만나러 떠나볼까요!

세시 풍속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과 문화를 배워요!
세시 풍속은 한 해의 계절이나 달, 절기에 따라 반복되어 전하여 온 풍속을 말합니다.
세시는 크게 정월(음력 1월)부터 섣달(음력 12월)까지의 명절과 24절기로 나뉘고,
그날에 행해지는 여러 가지 재미있고 뜻깊은 풍속이 전해집니다.
음력 1월1일 설에는
설날의 다른 이름과 설날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배워요.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설날에는 차례 지내기와
설을 맞이하여 새로 장만한 옷을 입고 세배도 하고 떡국도 먹으며 새해를 맞이해요.
떡국에 담기 이야기도 재밌어요.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생겼는지 알게 되었어요.
설날 민속 놀이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를 즐겼보기도 하고 설날 밤
아이들은 '신발 감추기' 재미난 풍속을 이야기 해요.
모르고 있던 설날에 대해 자세히 배운 것 같아요. 내년 설날에는 더 알차고 뜻 깊게 설을 맞이해야겠어요.

음력 1월7일 인일, 음력 1월14일 소망일, 음력 1월15일 대보름 봄철 시세 명절에 대해 배워요.
음력 2월1일 이월 초하루는 한 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머슴날' 또는 '노비일'이라고 불렀어요.
농사를 짓는 일꾼들을 위로 하는 행사였어요.
음력 3월3일 삼짇날이에요. 삼진날은 '삼질'과 '날'이 합쳐진 말로, 옛말인 삼질은 '삼일(3일)'이 변하여 전해졌어요. 삼짇날에는 봄철에 나는 재료로 여러가지 떡을 만들어 먹었지요.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기도 해요.
음력 5월5일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인 단오예요. 단오는 태양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날이라 여겨져 태양의 축제라고 할 수 있어요. 창포물에 머리를 감기도하고 단오 민속놀이로 씨름과 그네뛰기, 봉산 탈춤을 즐긴답니다. 중국, 일본, 베트남 세계 여러 나라의 단오를 배워요.

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음력 6월15일은 유두라는 명절이에요.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어요. 유둣날에는 특별한 먹을거리가 있어요. 유두면, 수단, 연병, 상화떡을 먹지요.
농가에서는 농신제를 지내고, 선비들은 유듀 놀이를 즐겼어요.
오곡이 무르익는 달 밝은 추석날에는 함께 모여 햇곡으로 송편을 빚어 먹고, 성묘화 추석 차례 지내기를 해요. 잊혀지고 있는 추석 민속놀이 강강술래, 줄다리기, 가마싸움, 소먹이놀이가 있어요.
여인들은 즐거운 친정나들이를 할 수있었다고 해요.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섣달그믐에는 뜬눈으로 밤새우며 묵은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준비합니다.
《한눈에 펼쳐보는 세시 풍속 그림책》은 일 년 열두 달, 달마다 찾아오는 크고 작은 우리 명절을
재미있는 이야기와 그림으로 배울 수 있는 책이에요.
각 명절의 의미와 유래를 알아보고, 그날에 행하는 풍속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과
고유문화를 살펴보아요. 자연과 더불어 이웃과 어울리며 함께 일하고 때로는 신나게 즐기며
살아간 옛사람들의 지혜를 배울 수 있어요.
지금까지도 많은 세시 풍속이 전해져 우리 생활 속에 남아있어요.
오랜 시간 이어져 온 우리 명절의 참의미를 깨닫고, 함께 전해지는 뜻깊은 풍속과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잊혀지지 않도록 지키며 우리 것을 널리 알려야 겠어요.
온가족이 읽으며 우리나의의 명절 세시풍속을 배워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