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의 배신 - 경쟁은 누구도 승자로 만들지 않는다
마거릿 헤퍼넌 지음, 김성훈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쟁은 누구도 승자로 만들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 살아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경쟁'을 경험했을 것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다닐 때는 내신 성적으로 친구들과 경쟁하고, 대학교에 다닐 때에는 학점으로 친구들과 경쟁한다.

수능 시험에서 학생들은 전국적인 수능 응시생들과 경쟁을 한다.

경쟁을 해서 얻는 것은 자신이 선정한 목표이다.

목표를 달성하면 행복할 것이라 생각했고, 성취감이 들 것이라 생각했지만, 나는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행복하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고, 성취감이 들지도 않았다.

그저 그동안 내가 해온 것들이 끝난다는 것에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우리나라의 사회구조는 '경쟁'에서 이겨 누군가의 위에 서야 성공하는 것 같다.

타인의 약점이 곧 나의 강점이 되고,각자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없는지 전전긍긍한다.

최근에 들려온 초등학교의 성적 순 급식 배급, 취업 준비생들의 화려하지만 비슷한 스펙 등이 과도한 '경쟁'이 포함되어있는 우리 사회를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이러한 '경쟁'에 대해 정리한 책이 바로 '경쟁의 배신' - 마거릿 헤퍼넌 이다.

'경쟁'의 원리도 처음에는 긍정적인 면이 부정적인 면 보다 컸기에 적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의욕을 저하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면들만 남아있다.

하지만, 경쟁이 전부인 세계에서 살아오다보니 경쟁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어색하게 느껴진다.

 

우리 사회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시한다.

과정도 결과처럼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지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과정을 평가해주지 않는다.

경쟁을 통해 누군가를 이기기 보다는, 함께 하여 승리보다 더 나은 성공을 이뤄야 한다고 이 책은 이야기 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은 흥미로운 점이 많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 사람이 자원인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경쟁이 심하다고 생각한다.

협력과 같이 누군가와 힘을 합쳐 무언가를 한다는 일은 어색하기만 하다.

심지어 대학교의 조별과제에서도 협력으로 치장하고 있지만, 현실은 조 안에서의 경쟁일 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경쟁이 아닌 협력의 길이 넓어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peak Like TED - 누구나 TED처럼 영어 프레젠테이션 할 수 있다
정석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영어 프레젠테이션의 모든 것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어울렁증을 가졌을 것이다.

말하기가 어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취칙을 하면 영어로 프레젠테이션을 할 기회가 많을 것이다.

모든 분야의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으로 확충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요한 책이 Speak like Ted 인 것 같다.

프레젠테이션에 필요한 모든 문장이 제시되어 있다.

이 책 한 권이면, 누구보다 뛰어난 영어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스를 든 인문학
휴 앨더시 윌리엄스 지음, 김태훈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흥미로움과 경악을 동시에 주는 책

  제목만 봤을 때는 내용이 짐작이 안됐는데, 책을 몇 장 넘기지 않았는데 인체골격도가 나오고 해부하는 의사들 그림이 나와서 당황했다.

 

  인문학이 전공과 상관없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에 살고있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읽어보려고 노력했지만, 문과로 살아온 나에게 인체 골격도나 다른 생물학적 이야기가 나오면 이해하기 조금 버거웠다. 그래도 흥미로웠던 부분이 많아 다행이다. 현재 인터넷에서 예쁜 여자 연예인들의 사진을 합성하여 새로운 예쁜 여자를 만든 사진이 많은데, 이게 과거에도 했었다는 일이라는게 신기하다. 또, 머리나 뇌, 뼈에 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는데 내가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몸의 작동과정과 같은 부분은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책을 통해 많이 배운 것 같다.

 

  과거의 정보들이 현재 정보의 초석을 다진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해부학과 관련해서는 문제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과거에는 시체를 구하기 힘들어 의사가 살인을 하기도하고 죽은 시체를 사고팔기도 했다고 한다. 이건 윤리적으로 잘못된 일이 확실한데 의료의 발전을 가지고왔다고 약간 봐주기식으로 넘어간 것도 없지않은 것 같다. 해부라는 것이 살아있는 것들에 대해서 진행될 때도 있는데 동물들을 사용한 것도 끔찍하다. 이 부분은 내가 동물을 키우고 있어서 일지도 모르지만... 최근에는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어서 다행이다.

 

  메스를든 인문학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지방'에 관련된 부분이다. 흔히 뼈가 살보다 무거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살(지방)이 훨씬 무겁다고 한다. 지방에 관련해서 어떤 사람은 지방 흡입수술을 한 후 예술작품으로 만들기도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생크림으로 만들어서 먹었다고 한다. 예술작품으로는 많이 이해를 하면 넘어갈 수 있을 것 같은데 생크림으로 만들어서 자신의 지방을 먹었다는 사실은 정말 문화충격인 것 같다. 그리고 과거에 '사람 지방'으로 불린 이 기름은 적어도 18세기 말 까지 쇠약해진 사지에 바르는 연고로, 그리고 이심의 여지없이 때로 신발을 방수처리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 정말 신기하지만 끔찍하기도 한 사실이다.

 

  지방 외에도 기억에 남는 것은 '뇌'이다. 아인슈타인이 죽자 다른 사람이 가족의 동의없이 아인슈타인의 뇌를 가지고가서 여러 개로 토막을 낸 후, 일반인의 뇌와 뭐가 다른지 조사해보려고 했다. 이것도 정말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내가 만약 아인슈타인아라면 죽어서까지 혹사당하는 기분이라서 정말 끔찍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낀 세대 리더의 반란
조미진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첫째와 셋째 사이의 둘째 같은, 낀 세대'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낀 세대'라는 말도 몰랐고, 직장을 다니게 되는 일은 아직 나에게 멀었다고 생각해서 이런 이야기가 책으로까지 써질 필요가 있는지 궁금했다.

 

  하지만, 책을 읽고나니 기성세대와 자유분방한 M세대 사이에 껴 있는 세대가 짊어지고 가야 할 것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았다. 낀 세대는 흔히 우리 부모님 나이로 볼 수 있다. 상사들은 모셔야하고, 부하직원들은 잘 달래서 일을 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팀장, 부장 급의 사람들. 그들은 극단적인 양쪽을 융합하느라 골머리를 썩는 것 같이 느껴졌다.

 

  기성세대는 '하라면 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있다. 위에서 시키면 아래에서는 반드시 하는 상명하복 시스템에 익숙한 분들이다. 하지만, 이들과 반대되는 M세대가 있다. M세대는 밀레니엄세대로 풍요로운 자원 속에서 자신들이 하고 싶은 일들을 마음껏 하고 무언가를 지시받으면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한다. 이렇게 극과 극으로 나뉜 두 세대 사이에 낀 세대들은 이렇게도 저렇게도 하지 못하는 처지가 되고 만다. 자신이 따라야 하는 사람들과 이끌어야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것이다.

 

  나도 M세대에 속하지만, 이 책에서 밀레니엄세대는 자유분방함을 넘어서 기본적 소양이 부족한 것으로 표현되는 부분이 많이 있다. 지각과 같은 기본적 태도가 부족한 것은 세대 전반에 걸친 특징이 아니라 특정 몇몇의 특징이라 생각한다. 개인적인 성향이 강한 것은 중고등학교에 다닐 때 부터 경쟁을 심하게 겪어야 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 같다.

 

  책에 표현된 낀 세대들은 삶이 팍팍할 것 같다. 극과 극의 사람들을 조율해야하고, 자신이 맡은 바를 다 해야하고. 그야말로 신과 같은 존재가 되어야 주어진 일을 끝마칠 수 있을 것 같다. 그동안 잘못 전해져 내려오던 관습들을 낀 세대들이 전부 치우고 있는 느낌이다. 낀 세대들은 자신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상사의 모습을 생각하고, 자신이 생각했던 상사를 그리며 살아가야 한다고 한다. 그렇지않으면 자신이 싫어했던 상사의 모습을 자신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이건 상사와 부하를 벗어나 우리가 살아가면서도 필요한 태도인 것 같다.

 

  조미진님이 낀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으신 말은 '긍정적인 마음'인 것 같다. 여기서 치이고 저기서 치이더라도 양 쪽에서 배울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생활하면, 그럭저럭 살만할 것 같다. 긍정적이지 않으면 젊은 세대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직책에 불만을 가져 퇴사하기 전에 먼저 낀 세대들이 퇴사를 할 것 같다.

 

  낀 세대 분들이 편안히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잠들기 전에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16-1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16
S. J. 왓슨 지음, 김하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와 집착, 사랑이 담긴 책

 

 이 책은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심리를 잘 풀어낸 책인 것 같다.

 

 주인공인 '크리스틴'은 다음날이 되면 그 전까지의 일들을 기억하지 못한다. 자신이 지금 어디에서 눈을 뜬 것인지, 옆에 있는 사람은 누구인지 등 대부분의 것들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의 옆에 누워있던 사람은 자신이 크리스틴의 남편이며 지금 그들은 40대인 것 등 자연스럽게 정보를 알려준다. 크리스틴은 자신이 기억상실증에 걸렸다는 것을 매일 아침 듣는다.

 

  기억상실증에 걸린 크리스틴은 다른 기억상실증 환자들과 다르게 특정 시점만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기억나지 않으며, 하루가 지나면 어제 있었던 일도 기억하지 못한다. 그래서 의사인 내쉬는 그녀를 도와주며 자신의 연구도 진행한다.

 

  크리스틴은 내쉬와 자신의 남편이라고 알고있는 벤이 자신의 과거에 대해 다르게 말하는 것을 알게된다. 자신이 기억을 잃게 된 계기에 대해서 벤은 차 사고라고 이야기하지만, 의사인 내쉬는 폭행사건이 있었다고 이야기 한다.

  또한, 벤은 벤과 크리스틴 사이의 아들인 애덤이 죽었다고 이야기하지만 크리스틴의 가장 친한 친구였던 클레어는 애덤이 죽지 않고, 그의 여자친구와 결혼하여 살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루가 지나면 기억이 나지 않는 크리스틴은 내쉬의 의견에 따라 일기를 적는다. 일기를 통해 벤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며 의심한다.

 

  소설의 마지막은 크리스틴이 벤이라고 믿고 있던 사람이 벤이 아니라 '마이크'였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마이크는 크리스틴이 기억상실증에 걸린 이유를 만든 장본인이며, 그 때 상황처럼 또다시 폭행을 한다. 같은 상황을 겪자 크리스틴의 기억은 제대로 돌아오게 된다. 구급차에 실려나가면서 클레어와 애덤을 보게되고, 병원에 가서는 진짜 자신의 남편이었던 벤을 보게 된다.

 

  이 소설은 오늘 + 과거의 일기 + 오늘로 구성되어 있다. 첫부분과 마지막 부분은 굉장히 흥미롭고 중간에 등장하는 일기부분은 나름대로 추리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만약, 내가 크리스틴처럼 하루하루의 기억을 저장하지 못하고 아침이 되면 모든 것이 낯설게 느껴지는 증상을 갖는다면 제대로 된 삶을 살지 못할 것 같다. 그리고 현재 내 상태가 이상하다는 것도 받아들이지 못할 것 같다. 아무도 믿지 못하고 살아갔을 것 같다.

 

 곧 영화로도 개봉된다고 하는데, 어떻게 제작되었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