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의 배신 - 경쟁은 누구도 승자로 만들지 않는다
마거릿 헤퍼넌 지음, 김성훈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쟁은 누구도 승자로 만들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 살아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경쟁'을 경험했을 것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다닐 때는 내신 성적으로 친구들과 경쟁하고, 대학교에 다닐 때에는 학점으로 친구들과 경쟁한다.

수능 시험에서 학생들은 전국적인 수능 응시생들과 경쟁을 한다.

경쟁을 해서 얻는 것은 자신이 선정한 목표이다.

목표를 달성하면 행복할 것이라 생각했고, 성취감이 들 것이라 생각했지만, 나는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행복하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고, 성취감이 들지도 않았다.

그저 그동안 내가 해온 것들이 끝난다는 것에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우리나라의 사회구조는 '경쟁'에서 이겨 누군가의 위에 서야 성공하는 것 같다.

타인의 약점이 곧 나의 강점이 되고,각자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없는지 전전긍긍한다.

최근에 들려온 초등학교의 성적 순 급식 배급, 취업 준비생들의 화려하지만 비슷한 스펙 등이 과도한 '경쟁'이 포함되어있는 우리 사회를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이러한 '경쟁'에 대해 정리한 책이 바로 '경쟁의 배신' - 마거릿 헤퍼넌 이다.

'경쟁'의 원리도 처음에는 긍정적인 면이 부정적인 면 보다 컸기에 적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의욕을 저하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면들만 남아있다.

하지만, 경쟁이 전부인 세계에서 살아오다보니 경쟁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어색하게 느껴진다.

 

우리 사회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시한다.

과정도 결과처럼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지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과정을 평가해주지 않는다.

경쟁을 통해 누군가를 이기기 보다는, 함께 하여 승리보다 더 나은 성공을 이뤄야 한다고 이 책은 이야기 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은 흥미로운 점이 많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 사람이 자원인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경쟁이 심하다고 생각한다.

협력과 같이 누군가와 힘을 합쳐 무언가를 한다는 일은 어색하기만 하다.

심지어 대학교의 조별과제에서도 협력으로 치장하고 있지만, 현실은 조 안에서의 경쟁일 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경쟁이 아닌 협력의 길이 넓어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