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지혜, 듣기 아우름 33
서정록 지음 / 샘터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난 후

몇년 전에 읽었던 이기주 작가의 산문집『언어의 온도』을 읽고나서 느꼈던 부끄러움의 기억이 되살아났다.

당시 내 부끄러움의 이유는 아무 생각없이 내가 누군가에게 내뱉었던 차갑고 날카로운 내 말들이 누군가에게는 오랫동안 지울 수 없는 상처로 남았으리라는 뒤늦은 후회 때문이었다.

그런 내게 이 책, 『잃어버린 지혜, 듣기』는 『언어의 온도』의 듣기 버전이랄까?

물론, 이 두 책의 내용은 서로 전혀 다르지만,

말하기나 듣기가 결국은 의사 소통과 전달을 전제로 하는 기본적인 방법인데다 

이 둘은 서로 불가분에 관계에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그런 내 연상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르겠다.


『잃어버린 지혜, 듣기』라는 책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저자는 현대 사회가 잃어버린 가장 큰 지혜는 바로 "듣는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리고 듣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저자는

영적 수준이 높은 인디언들이나 아프리카 다가라족, 불교와 기독교를 예로 든다. 


이를 통해 우리가 들어야할 내용이 

신의 음성이건 내 안에 숨어있는 어떤 진실이건 혹은 다른 무엇이든 간에 

우리가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올바르게 그 소리를 듣고자할 때에만 

진정한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고요함 속에 자연과의 교감 속에서 자신 안에 있는 신의 음성을 듣기 위해 

홀로 고독한 시간을 보내는 인디언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나 자신의 "듣기"에 대해 생각했다.

늘 내가 사는 이 도시의 소음과 번잡스러움에 대해 진저리 치면서도 

어쩌다 고요하고 적막한 시간이 찾아오면 그 시간을 두려워 하는 나.

어쩌면 내가 두려워 하는 것은 그 고요함 속에 숨겨진 내 안의 나를, 

내 음성을 듣는 일이 아니었을까?

나의 참자아와 대면하는 일을 회피하기 위해

내 안에서 들려오는 소리들을 듣지 않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틀어놓은 것은 아니었는지...

그렇게 나의 듣기 생활을 들여다보면서 새삼 내가 잃어버린 듣기 능력에 대해서

돌아보게 되었다.


신비로운 자연의 소리에 귀를 열고 마음을 열어 

신비한 대자연으로부터 울려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인디언들처럼 

내 귀도 영적인 소리에 귀를 귀울이려 노력한다면 아마 지금보다는

 내가 나 자신을 이해하고 나의 참모습을,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를 깨달을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보다 더 자극적이고 현란한 시각적 이미지를 추구하는 현대 문명 사회는 

우리의 모든 감각을 언제나 바깥으로 향하게 하지만,

많은 인내와 노력을 통해 제대로 된 듣기의 방법을 배워

내가 이 세상에 온 이유와 존재 이유를 발견하고 영적으로 성장하고 싶다.


이 책을 읽으며 듣기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중요하지않은, 차라리 듣지 않는 것이 나은 크고 작은 소음들에 묻혀 

어쩌면 진짜 내가 귀를 기울여야할 많은 소리들에 마음을 닫고 귀를 닫고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정말로 중요한 내 영혼의 소리,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내게 전하는 마음의 소리, 잊고산 많은 소중한 자연의 소리들에 귀를 기울여봐야겠다.







"북미 인디언들은 동물과 식물을 ‘인간의 영적 교사‘라고 부른다.
그들이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동식물들이 인간보다 세상에 먼저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세상에 오랫동안 적응하면서 어떻게 살아야할지 안다."

"침묵과 듣기를 잃는 순간,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물질에 이끌리고 나를 앞세우고 남을 지배하려고 한다.
상대방 말을 듣기보다 내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모인 곳은 언제나 소란 스럽다.
그런 자리에는 주장만 있을 뿐 지혜가 들어설 틈이 없다.
지혜가 없는 문화는 죽은 문화다.
바로 여기에 현대문명의 비극이 있다."


"그들은 말한다.
인간의 생존은 새들과 동물들의 말에 귀기울이는데 달려있다고.
식물과 동물, 그 모든 존재가 말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에 달려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