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육신적 교회 - 탈육신 시대에 교회의 역사성과 공공성 회복하기
마이클 프로스트 지음, 최형근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육신적 교회가 왜 그대에게 필요한가?


  요즘 밖으로 나가 세상을 둘러보면 한결 같이 스마트 폰에 빠져 들어갈 듯 눈을 붙이고 몰입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들을 쉽게 발견 할수 있다. 사실 이러한 현상들은 문명의 발달이 주는 “인간관계의 단절”이라는 원초적인 요소에 매몰 되어 버렸다. 단적인 예로 SNS안에서 이용자들의 모습들을 유심히 관찰을 해보면 그들이 얼마나 훌륭한 가면을 쓰고 자신을 포장하기에 애를 쓰는지를 분명하게 알수 있다. 자신이 현실에서 극복하지 못했던 다양한 관계의 문제들을 SNS안에서 쉽고 편리하게 해소시키는 탈출구로 매번 배설하여 자신의 자아를 내가 꿈꾸는 자아 안으로 함몰 시켜 버린다. 


  이와 같은 현상은 결론적으로 개인주의와 나르시시즘(Narcissism)등으로 인간의 관계를 단순히 각자가 필요 할 때 쉽게 꺼내 쓸수 있는 휴대용 가치로 전락 시켜 버렸다. 이것은 고스란히 신앙의 문제와도 직결되어 신자들에게 이원론적인 사상을 자기 스스로가 강요해 버리는 결과가 초래 되었다. 단절이 단절을 만들고 그 단절은 결론적으로 포류하고 있는 인간의 자아상을 계속적으로 조명하는데 이것을 ‘성육신적 교회’의 저자인 마이클 프로스트(Michael Frost)는 성육신으로 오신 예수님의 삶의 방식들을 살기를 부름 받은 그리스도인이 ‘성육신’과는 반대의 개념으로 정의되는 ‘탈육신’으로 신자의 고유의 삶이 이탈하고 있음을 고발한다. 


  대표적으로 비디오 게임과 포르노 중독에 젖어 있는 젊은이들을 이야기 하면서 그들이 이 세상에서 경험하고 극복해야 할 많은 관계들을 해결해야 하는 용기조차 빼앗아 버렸으며 지속적으로 고립된 관계 속에서 황폐해져가는 삶을 유리하듯 살아가고 있다라고 말한다(p42). 불행하게도 이러한 현상들은 가족 관계에서도 자주 찾아 볼수 있다. 가족들이 도란 도란 식탁에 앉아서 서로의 삶을 인격적으로 다듬어 줄수 있는 시간들을 스마트 폰이라는 문명의 발전이 강탈해 버린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가족 공동체의 재앙과도 같아서 사회 공동체에 진입하고 나서도 고스란히 그 문제는 드러나게 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스스로에게 집착하여 이기주의라는 괴물을 탄생시켜 버린 이 세상이 바로 ‘탈육신’된 세상이다. 하나님께서 허락해주신 가족이라는 최초의 공동체가 탈육신적인 삶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면 앞으로의 미래는 더욱 더 침체 된 가족 관계와 사회 풍토가 성육신적 교회의 모습을 점차 빼앗아 버릴 것임을 너무나 자명한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신자에게 있어 성육신적 교회의 모습에 대한 어떤 정의가 필요 할까? 프로스트는 탈육신 되어가는 세상과 교회에 대항하여 성육신의 단어에 대하여 세가지로 정의하며 이에 따라 대안을 분석한다. 

1) 성육신의 본을 따르는 것 2) 성육신의 지속적인 힘으로 능력을 부여 받는 것과 3) 하나님의 성육신적 선교에 지속적으로 참가하는 것이다. 

  원론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과의 분류 혹은 분리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 받은 인간이 예수의 말씀대로 살아가는 총체적인 삶을 성육신적 삶이라 정의한다면 칼빈이 말했던 신적 의상을 소멸해 버린 인간이 과연 성육신적 삶을 당당하게 전할수 있는 것일까? 바울은 이렇게 말한다.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고전 11:1)   


  바울의 말은 예수가 전하신 성육신적인 삶을 따르는 모든 믿는 신자에게 해당하며 그것을 통해 호흡하며 그 규칙들을 모방하여 서로가 서로를 본 받는 삶의 체계가 형성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레 11:45, 벧전 1:16)의 말씀은 곧 거룩 할수 없는 인간이 거룩한 자로써 말할수 있는 주님께서 주신 자신감으로써 삶을 영위 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말씀은 살아 숨쉬어 역동적으로 신자들을 성육신적 삶으로 구속 시키며 담대하게 복음을 증거하게 함을 하나님께서는 지속적으로 거룩을 향하여 말씀하고 계시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탈육신적 교회가 지속적으로 성육신적 교회를 위협하고 있음을 예의 주시하며 이 시대에 어떤 방법으로 선교를 할수 있는지에 대한 대안책을 풀어 낸다. 먼저 9장에서 그는 현재 발전해 온 단기선교가 선교의 단어가 제거 된 “자원봉사관광”(voluntourism)의 부상을 목격했다고 말한다(p220). 과연 보육원 방문이나 클릭티비즘이 만약 우리가 하는 주 사역이라면 과연 성육신적 교회를 형성 할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제기 된다. 여기서 그는 로버트 립턴의 ”긍휼사역 선서“(Oath for Compassionate Service)를 인용 하여 주로 가난한 선교 지역의 사람들이 물질적으로나 선교적으로 자생할수 있는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목적으로 돕는 손길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여기서 립턴은 실제적으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려는 시도는 선한 것이며 그리스도의 종들을 양성하는 좋은 계기가 될수 있다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기서 나는 어느 정도 입장이 다르다. 선교의 목적을 ”구제를 해야 한다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다 보니 선교의 핵심이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이 희미 해질수 있는 위험성 또한 보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선교 현장에서 구제를 먼저 하지 않고 복음을 먼저 전하는 메신저로써 선교를 감당한 것처럼 선교의 주체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여야 한다. 이 부분이 공급 되어지지 않으면 행위로 점철 되어 지는 탈육신적 선교로 변질 되어 버릴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선교의 주체는 행위가 아닌 복음으로써의 방향성을 절대적으로 유지 한 채 고민을 쌓아 가야 한다. 


  물론 책의 주제가 이 시대를 겨냥하고 있고 “탈육신”에서 “성육신”으로 지형이동을 하는 실제적인 과정을 다루고 있으므로 글이 다소 편향 되어 질수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 교회는 믿는 사람들의 모임으로써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본을 보일 때 구제 만큼 그들의 마음을 복음으로 이끄는데 편리한 수단은 없다는 점도 인정한다. 그리고 바울 또한 고린도 후서 9장에서 가난한 자들에게 연보(헌금)함으로 하나님께 감사(고후 9:11~12)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그들이 복음 앞에 진실 됨으로 복종하기를 권고 한다. 믿는 사람이든 믿지 않는 사람이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을 공유하고 채워 주려는 시도는 마땅히 복음과도 부합한다. 이것을 마이클 프로스트는 성육신적 교회에 대비해서 지속적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하는 모습들이 책에 역력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성육신적 교회의 포지션을 취하는데에 있어서 인간의 의식이 사회적으로 결코 독립 할수 없음을 피력 하면서 만약 앞으로의 인류가 표면적 이미지와 시뮬레이션 및 파편화되고 단순화된 것에 익숙해진다면 분명히 의미 있는 성찰과, 평생의 약속이나 연대감을 포용하는 것이 점차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p278). 그러므로 인간학적으로 그리스도인은 우리 주위에 이웃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게 중요하다. 예전에 인터넷이 상용화되지 않던 시절에 옆에 붙어 사는 이웃들과 어떤 관계속에 지냈는지 한번 생각해보자. 매일 같이 마실 나온 것처럼 이웃들과의 교제 안에서 인격적인 관계를 유지하지 않았는가? 지금은 옆에 누가 살았는지가 죽었는지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은 드물다. 소통의 부제가 사랑의 부제로 연결 되어 삭막한 세상을 인간 스스로가 시뮬레이션의 세계에 자신을 고립 시켜 버리는 것이다. 사실상 이웃들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디지털의 세계로 환원 되는 것이다. 디지털은 자본의 세계를 구축하고, 자본의 세계는 개인주의로 경쟁 사회를 부축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탈육신 되어 가는 이 세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탈육신의 원인을 분석하여 성육신의 위치를 올바르게 정립 하는 것이 현대 선교의 최대의 난점이자 해답이다.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난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책을 읽는 독자에게 스스로가 해답을 찾을수 있도록 충실히 쓰여진 “책”임은 틀림 없다.


  현대 시대에는 누구도 믿을수 없다라고 많은 사람은 주장하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써 성육신 된 교회를 세워 나가기 위한 어떠한 위험도 감수하며 선교적 마인드를 가지고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라는 것이 이 책의 실제적인 교훈처럼 보인다. 마이클 프로스트는 마지막으로 이러한 격려로 글을 마친다. 


“하나님 나라를 위한 싸움을 절대 포기하지 마라. 우리는 진리를 맛보았고, 그 맛을 잃어버릴 수 없다. 우리는 돌아갈 수 없다. 오로지 앞으로 나갈 뿐이다. 우리는 최고라고 주장하면서 아무것도 제시하지 않는 세상을 무너뜨리는 데 도움을 주는 자들로 중심을 유지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약속들을 끈질기게 부여잡고,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동참하는 모습을 지속해서 드러내는 급진적 신앙 공동체로 존재해야 한다.”(p378)


  그렇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급진적으로 실천했던 성육신적 삶에 대하여 용기 있게 부딪혀 나가야 할 사명자 들임을 기억해야 한다. 탈육신의 사회는 계속해서 교회를 위협하지만 성육신적 교회는 무너지지 않고 진리를 수호하는 이들에게 포기 하지 않는 힘을 계속해서 공급해주신다는 사실 또한 기억하자. 나도 그의 격려에 화답하여 말씀 구절로 마이클 프로스트에 의견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싶다.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갈 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