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다섯 마리의 밤 - 제7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채영신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영신 작가의 소설인 <개 다섯 마리의 밤>은 다채로운 소재들을 활용하여 서사의 힘을 끝까지 이끌어 나가는 강력한 힘이 있는 작품이다. 알비노(백색증)이라는 병을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소년 세민이와 엄마 박혜정의 애달프고도 비극적인 이 작품은 사회 비극적이면서 종교, 문학, 신화적인 요소까지 보는 내내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개 다섯 마리의 밤의 뜻은 호주 원주민들이 아주 추운 계절인 밤이 되면 개 다섯 마리를 껴안을 때 체온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의미로 혹한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상징한다. 이는 혜정과 세민의 삶을 은유하는 묘사이다. 

이 소설은 ‘요한’이라는 인물이 아이들을 살해하고 살해현장을 재연하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겠지만, 이는 성경에 등장하는 ‘요한’을 뜻하며, 성경에서 요한의 역할은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고 세우는 일이다. <개 다섯 마리의 밤>을 움켜쥐고 있는 서사는 성경의 이야기다. 기독교의 서사를 굴절하여 마치 성경에서 찾는 ‘선별자’인 구원자인 예수를 현대에서 찾게 되는데, 이를 달리 말하면 틀리다고 핍박과 조롱의 대상이 되어 버린 어떤 소수자를 바라보는 사회의 암흑, 그리고 핍박에 대한 전유이며 이단 종교로 추측되는 그 단체에 속한 ‘요한’은 ‘세민’을 선별자로 선택한다. 태생적인 병으로 ‘핍박’을 받는 세민,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태생적으로 핍박이 강제되어졌던 그 지점을 작가는 지적하며 ‘세민’ 뿐만 아니라 사회가 합의한 것처럼 보이는 자본주의, 실력만능주의에 대한 비범한 통찰과 은유들을 통해 결국 핍박은 파멸을 향해 치닫게 된다. 

소설을 구성하는 인물들, 특히 세민과 혜정과의 대립을 이루는 그룹들은 두 그룹정도로 축약된다. 첫 번째로 혜정과 다른 엄마들이다. 학교에서 세민이가 유별난 외모와 공부 성적 또한 우수한 이유로 다른 엄마들의 질투를 사고 있었는데, 그 중에 안빈의 엄마는 그녀의 어려운 사정들을 내심 알고 처음에는 그녀를 도와줄 작정으로 이야기를 많이 나눴지만, 세민이가 학교 성적이 높아지면서 그것이 질투심으로 변화된다. 결국 그녀에 대한 적대적인 마음과 대척점에 서는 인물이다. 두 번 째로는 세민과 아이들이다. 세민은 그 나이 때에 가질 수 없는 유능함 때문에 아이들의 질투를 받게 된다. 그는 이를 방어하기 위한 기제로써 알비노를 이유로 조롱하는 아이들에게 지지 않도록 지식을 쌓는다. 그리고 세민이와 이단 종교의 관계는 <개와 다섯 마리의 밤>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아우라’다. 벤야민이 말한 그 ‘아우라’는 공간과 시간, 전통이 시대를 관통하여 계속 계승되며 갱신되는 형태. <개와 다섯 마리의 밤>에서는 그것이 ‘종교’적인 형국으로 들어선다. ‘요한’과 ‘에스더’는 종교적인 이상을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인물들이다. 아이를 살해하는 것도 물론이지만, 마지막에 이 종교가 단체로 벌이는 한 사건은 한국에 있었던 충격적인 사건을 연상시키면서 끝나지 않을 혹독한 추위에 대한 명멸. 이어지는 서늘한 마무리가 삶의 과녁에 명증하게 꽂힌다. 

어떠한 소설은 상처가 부어서 생긴 부스럼들을 약을 발라 치유하는 과정을 그린다면, <개 다섯 마리의 밤>은 상처가 벌어진 그 곳을 들여 다 보고 표현하는 소설이다. 어떠한 상처는 끝났거나 끝나지 않을 것처럼 몸에 체화된다. 한편으로 세민이와 혜정이가 공통적인 습관은 ‘술’을 마시는 것이다. 상처를 잊기 위해 마셨던 그 술은 몸에 고통의 순간들을 반영하는 체화된 습관이다. 결국 세민이와 혜정이 수용한 식별할 수 없는 아픔과 고통 끝에 받아들이는 핍박은 영광 스럽지 않고 가련하다. 고된 삶의 끝에 하느님의 영광이 인간의 삶에 진실로 깃들 수 있는 것일까. 결국 에스더의 마지막 독백은 그렇게 고되고 고된 삶에 대한 의문, 그리고 그 의문은 우리의 것이 되어 부유한다. 끝날 것 같다가도 종 잡을 수 없는 고통의 연속선의 길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