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음식의 세계사 - 식탁 위에 놓인 인류 역사 이야기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한세희 옮김 / 탐나는책 / 202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 먹고 마시는 것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진다. 왜냐하면 본능적으로 의식주에 역사라는 건 인류의 시작만큼이나 오래 되었기 때문이다. 생존을 위해서라든지 삶의 유희를 위해서 요리라는 행위는 역사에 필연적 요소로 등장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음식을 어떻게 정의할까? 국어사전에 개시 된 음식의 뜻은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이나 국 따위의 물건 혹은 사람이 먹고 마시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우리는 첫 번째 뜻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조리한 “음식”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한 것일까라는 물음 말이다. 이러한 질문에 간단명료하면서 명쾌하게 대답해 줄 수 있는 책을 한권 소개한다. 바로 처음 읽는 음식의 세계사라는 책이다. 


책은 총 1장의 <인류를 창조한 자연이라는 식량 창고>라는 제목으로부터 8장까지 <콜드 체인과 세계화>라는 챕터를 시대 순서와 그 시대의 주류를 이룬 음식의 기원과 발달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한다. 1장에서 인류가 채집 사회에서 식자재의 획득과 더불어 부패를 막기 위해 음식이 개발 되었다는 사실은 음식은 우선적으로 생존을 위한 역사로 점철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를 시작으로 각 지역의 기후와 지형적인 특성과 맞물려 문화, 문명으로 점차 발돋움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음식이 세계에서 어떤 영향을 주었을 지를 예상하게 한다. 몇 가지의 내용을 짧게 살펴보자면 음식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거나 음식의 맛을 살리기 위해 조미료를 찾고 개발하는 과정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마실 수 있는 커피나 홍차 등이 이슬람의 문화에서 우연히 이뤄졌고, 홍차를 차지하기 위해 감행 되었던 정치적인 사건들이 프랑스 혁명의 주춧돌이 되었다는 기가 막힌 사연, 민족주의로 자행된 유럽에서의 장기간의 전쟁을 위해 개발 된 식품 보존 기술이 통조림의 역사로 이어졌고, 산업 혁명을 통해 음식을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고, 교통의 발달로 인해 음식의 세계화가 결과적으로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드러내는 것을 밝히면서 문명의 시작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음식의 역사를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이 책의 특징은 단순히 음식의 역사를 동서를 막론하고 편견 없이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노력했다는 지점에 있다. 또한 저자는 고등학교에서 세계사 교사로 지도한 노하우들을 십분 활용하여 역사책을 처음 읽는 어떤 이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끔 독자들에게 친절하게 다가간다. 그 친절한 손길을 서론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책의 전체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보게 함으로써 책을 읽어야 할 강력한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있다. 분명 음식의 문화는 각각 나라마다 다르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음식을 추구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펼쳐질 음식의 미래는 세계화의 흐름과 더불어 무궁무진한 발전과 변화를 이뤄낼 것이다. 미야자키 마사카츠의 처음 읽는 음식의 세계사는 친절한 교양서적이고, 식탁의 올려 져 있는 음식을 가치 있고 의미 있게 생각하게 되는 가이드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