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웃집 슈퍼히어로
김보영 외 지음 / 황금가지 / 2015년 3월
평점 :

슈퍼히어로물은 언제 보아도 신납니다. 우리 주변의 이런 히어로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가끔 해 보는데요. 정말 그들이 제 주변에 있다면 과연 저는 그를 알아 볼 수 있을까요?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같은 슈퍼히어로들이 그러하듯이 자신의 능력을 숨기고 살고 있을 테니 저는 그들을 알아 볼 수 없을 겁니다 . 토니 스타크처럼 자기 입으로 내가 그놈이요!! 하는 슈퍼히어로는 드물잖아요. 지금은 슈퍼히어로라고 하면 어벤져스가 먼저 생각나는데요. 정말 미국적인 캐릭터 들이지요. 저는 미국적인 히어로들도 재밌고 좋지만, 사실은 어렸을 때부터 좋아하던 우리나라 슈퍼히어로들도 좋아해요. 전우치, 홍길동, 박씨부인 같은 초인이요. 아 ,뭐야. 동화속에나 나오는 사람이잖아. 애들 책 보면 나오더라. .... 어벤저스는 만화 책에 나오거든요?

만화에 나오거나 동화에 나오거나 소설에 나오거나... 아무튼 우리의 슈퍼히어로는 전세계 어디에나 존재했고 그들을 동경하는 우리가 있었습니다. 슈퍼 히어로라고 하지만 인간적인 부분들도 있어서 더욱 가깝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함께 살아가고 있기때문에 사회적 문제에서 멀리 있을 수 없는데요. 그들은 어깨에 너무 많은 것들을 짊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들 역시 우리가 못살겠다~힘들다~ 하는 개인적인 문제들도 겪고 있는데다가 사회적 정치적인 문제들까지. 게다가 사람들의 천성인지. 노예생활에서 구해줬더니 처음엔 고마워하다가 이내 궁시렁거리던 이스라엘 민족의 본을 받아서인지- 우리나라식 표현으로는 물에 빠진놈 건져줬더니 내보따리 내놔라.. 한다죠. - 영웅의 도움을 당연시하고 더 많은 걸 요구하는 인간들 때문에 얼마나 부담스러울까요. 이봐요. 피터 파커는 생활이 곤궁해서 알바도 해야한다구요. 메가마인드의 그 슈퍼히어로, 메트로맨이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되네요. 슈퍼 히어로는 우리보다 특이한 능력을 가지고 있을 뿐 각자의 클립토나이트를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인간일거에요. 그러니 참 안쓰럽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슈퍼 히어로들을 원합니다. 아 ,내가 제일 얄미운 캐릭터로구나. 저 같은 사람을 보고 말리는 시누이라고 하는거죠?
그러고보니 악을 응징하기 위해 싸우는 초인적인 모습을 상상하며 스스로가 초인이 되길 원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네요. 저도 한 때는 캣우먼이 되고 싶었으니까요. 하지만 제가 캣우먼이 되면 가필드형 캣우먼이 될테니 포기 했어요. 그런데, 초인이 되고 싶다는 희망을 가지고 초인으로 만들어 주는 곳을 찾아간 남자가 있네요. 초인이 되려면 불우한 과거사나 재력 같은 기본 스펙을 장착하고 가야하는데, 그냥 평범한 가정에서 보통으로 자라나서 그냥 살고 있는 이 남자. 뭘 믿고 슈퍼 히어로 양성소를 찾아 온건지.
<이웃집 슈퍼히어로> 의 첫번째 이야기 '존재의 비용'에 이 남자가 등장합니다. 어쨌든 소원하던 대로 슈퍼히어로가 됩니다. 그런데..
이사람은 과연 초인이 되는 조건으로 무얼 지불했을까요?
황금가지 출판사 신작 <이웃집 슈퍼 히어로> 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SF 작가들의 히어로 단편들이 실려 있습니다. 개성 넘치는 작가들의 단편들이라 그런지 모두가 독특했습니다. 작가의 특성에 따라 미스터리, 스릴러,심지어 무협까지 여러 방면의 히어로들을 만날 수 있었죠. 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스쳐 지나갔을지도 모르는 그런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친근했습니다
작가기 달라 개성 넘쳤다는 장점도 있었지만 저와 조금 안맞는 작품도 있었습니다. 제가 흐름을 잘 이해 못했어요. 그런 작품에서는 읽는 속도가 잠깐 지체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은 어찌나 재미있던지.

저는 초끈 이론이 적용되어있는 김보영의'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이 인상적이었구요. 배트맨을 무협세계로 끌어들인 좌백의 ' 편복협 대 옥나찰'이 무척 재미있었어요.
어벤저스 개봉을 기다리는동안 우리 이웃집에 사는 슈퍼 히어로의 이야기를 즐겨보시는 건 어떨까요?
개봉후에 읽으실 분께서는 미국 히어로와 우리 히어로를 비교하며 동서양의 차이를 느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